어제 제 일터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끝났습니다.
그동안 하루에도 네댓 번 불려갔었는데, 이제 한숨 좀 돌릴 수 있겠네요.
감사하니 생각나는 낱말이 있네요.
면죄부라는 낱말입니다.
본래는 중세에 로마 가톨릭교회가 금전이나 재물을 바친 사람에게 그 죄를 면한다는 뜻으로 발행하던 증서를 뜻합니다. 800년경에 레오 삼세가 시작하여 대대로 교회 운영의 재원으로 상품화하였다가, 15세기 말기에는 대량으로 발행하여 루터의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종교 개혁의 실마리가 되었죠.
실은 이 말은 좀 이상합니다.
흔히 너 그러면 죄 받는다고 할 때, 그 말은 잘못된 겁니다. 너 그러면 벌받는다고 해야 맞습니다. 죄는 짓는거고 벌은 받는거니까요. 따라서 면죄부도 죄를 면해주는 게 아니라, 그 죄에 따른 벌을 면해줘야 맞는 거 아닌가요? 그렇게 보면 면죄부가 아니라 면벌부가 되어야 맞습니다.
저는 면죄부가 맞는지 면벌부가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제가 알기로 면벌부는 2003년엔가 교육부 편수자료에 들어간 낱말로 알고 있습니다. 편수자료는 초중등학교에서 낱말을 통일되게 가르치도록 하고자 교육부에서 만드는 일종의 용어집입니다. 면벌부라는 낱말이 아직 사전에 오르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면죄부가 아닌 면벌부라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어설픈 감사는 피감자에게 면죄부를 줄 수 있고,
어설픈 판결은 대기업에 면벌부를 줄 수 있지않나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내기)
오늘 편지는 면죄부와 면벌부라는 낱말을 소개하는 겁니다. 종교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
면죄부에 대한 답장입니다.
늘 감사하는 마음으로 우리말 공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면죄부'에 대해서 오해하는 분들이 많아서 말씀드립니다. 면죄부는 가톨릭교회에서 죄를 면해주는 증서가 아니었습니다. 고해성사란 말이 사회에서도 자주 쓰이는데, 바티칸 대성전 건축비를 봉헌하면 어느 사제에게나 고해성사를 볼 수 있다는 특전으로 증서를 주었습니다. 고해성사는 자기가 소속되어있는 본당 사제에게 봐야만 했거든요. 그런데 특별한 사면권을 준 것이지요. 이를 라틴어로 indulgentia라고 하는데 이를 개신교에서 악의적으로 번역하여 면죄부라고 한 것이지요. 이의 원 뜻은 '대사, 은사'란 뜻인데요. 늘 좋은 말 공부시켜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하다/허구하다 (0) | 2008.10.20 |
---|---|
옴니암니 (0) | 2008.10.17 |
소근거리다/수근거리다 (0) | 2008.10.15 |
꼬리/꽁지 (0) | 2008.10.14 |
기다/아니다 (0) | 2008.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