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읽은 한국경제신문에 조문과 추모의 다른 점을 설명한 기사가 났네요.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060295401 <기사원문 아래>
그 기사를 마무리하는 끝 월이
'그것은 적확한 용어를 찾고 논리적 구사를 생명으로 하는 언어에서 자칫 '대충' 써도 통한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해야 할 일이다.'입니다.
참으로 옳으신 말씀입니다.
오늘은 앞 월에서 나온 '적확한 용어'에 쓰인 '적확'을 알아볼게요.
'적확'은 과녁 적(的) 자와 확실할 확(確) 자를 써서 "경우나 상황에 꼭 맞아 확실함",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다."라는 뜻입니다.
'정확'은 바를 정(正) 자와 확실할 확(確) 자를 써서 바르고 확실하다는 뜻입니다.
뜻풀이가 비슷한 것 같지만 다릅니다.
적확은 적격 여부 판단에 쓰이고,
정확은 정오판단에 쓰인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보기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이것이 '적확'할 것이다,
2 더하기 3은 5가 되어야 '정확'한 답이 된다.
기사를 다시 보면,
'그것은 적확한 용어를 찾고...'는
'그것은 알맞은(또는 올바른) 용어를 찾고...'라는 뜻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문과 추모이야기를 하다 보니 돌아가신 분이 또 생각나네요.
거듭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한국경제신문 기사원문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봉하마을 조문객 100만’의 비밀
지난 5월23일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식이 29일 치러져 7일간의 장례절차가 모두 마무리됐다. 그는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남긴 울림은 컸다. 그것은 대부분 정치 · 사회적 과제일 터이지만 그 가운데는 우리말과 관련한 숙제도 있다.
가) 덕수궁 대한문에 마련된 빈소에는 이날 오후 늦게까지 조문객의 발걸음이 이어졌다.
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해가 안치된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뒤편 봉화산 정토원엔 31일에도 조문의 발길이 이어졌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한 뒤부터 장례를 마칠 때까지 가장 많이 쓰인 말은 아마도 '조문(弔問)'일 것이다.
그가 숨을 거둔 뒤 이어 '빈소(殯所)'가 마련되고 조문이 시작됐다. 전국에서 애도의 물결이 일자 서울의 대한문 앞을 비롯해 전국 곳곳에 '분향소(焚香所)'가 설치됐다. 봉하마을에만 100만여명이,전국적으로 400만명이 넘는 조문객이 다녀갔다는 추산도 있다.
그런데 조문객이 이렇게 많을 수 있다니,'조문'의 뜻을 곰곰 생각해 보면 의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장례식이 끝난 뒤에도 '조문객'들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조문이란 말을 확대 해석한다 하더라도 지나친 면이 있다.
사전들은 '조문'을 '남의 죽음에 대해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喪主)를 위문하는 것'으로 풀고 있다.
'조문객 100만 또는 400만'의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먼저 빈소와 분향소의 차이를 살펴야 한다. 두 말을 혼동해 잘못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빈소'란 상여가 나갈 때까지 관을 놓아두는 방,즉 시신을 안치한 곳이다. 이에 비해 '분향소'는 향을 피우면서 제사나 예불 의식 따위를 행하는 장소를 말한다. 사람이 죽으면 시신이 있는 곳,즉 빈소는 단 한 군데뿐이므로 찾아와 애도할 수 있는 사람들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유명인이 죽었을 땐 외지에 영정이나 위패를 모신 분향소를 설치해 멀리 있는 사람이 고인을 추모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한다. 분향소는 전국 각지에 얼마든지 설치할 수 있다. 그러니 누군가가 "상가에 가서 조문했다"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하나는 빈소(시신이 누워 있는 곳)를 찾아가는 것이고,다른 하나는 상주 등 유족을 위문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이 두 가지는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것이다. 상주는 빈소를 지키게 돼 있고,빈소에 곧 상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빈소 이외의 다른 곳(분향소)은 엄밀히 말하면 '조문'이 아니다. 그냥 '애도'하는 것이다. 가령 '분향소를 찾아 조문했다'가 아니라 '분향소를 찾아 애도를 표했다'거나 '분향소를 찾아 추모했다/참배했다' 식으로 해야 정확한 것이다.
우리말 운동가이자 한글학회 선정 우리말지킴이(2003년도)인 김선덕 선생은 이와 관련해 "조문은 고인이나 그 유족을 직간접적으로 아는 사이여서 조문객은 빈소를 찾아 고인을 애도하고 유족을 위문하는 것이다. 추모는 생전에 고인을 몰랐더라도 평소 존경했거나 사회적으로 명망 있는 인물이라면 빈소나 분향소를 찾아가 고인을 기리며 명복을 비는 것이 다른 점이다. 이 경우 유족을 위문할 일은 거의 없다"라고 말했다.
따라서 예문 가)에 쓰인 빈소는 당연히 분향소로,조문객은 추모객이라 해야 한다. 예문 나)에 있는 조문 역시 추모나 애도 정도가 적절하다. 정리하면 빈소 이외의 곳에서는 '분향소에는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추모객의 발길이 이어졌다'라고 말하는 게 정확한 어법이다.
결국 우리말법으로 살펴본 노무현 전 대통령의 '조문객'은 실제론 그리 많지 않다는 얘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신문에서 초지일관 '조문' '조문객'을 쓴 데에는 국립국어원의 유권해석도 한몫 한 것 같다.
서거 뒤에 일부 언론사에서 국립국어원에 '조문'의 쓰임새에 대해 문의했다. 국립국어원 측은 이에 대해 "엄밀히 말하면 분향소를 찾는 것은 '조문'이라 할 수 없지만 엄청난 추모 열기를 감안해 넓은 의미에서 조문이라 볼 수 있다"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말의 쓰임새가 시대에 따라 변한다는 점에서 단어 사용에 유연한 관점을 보인 것이다.
하지만 이는 언어의 과학화란 점에서 그리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우리말에서 이미 '조문'의 의미와 용법이 명확한 데다 상황에 따라 추모,추도,애도,참배 등 쓸 수 있는 적절한 표현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적확한 용어를 찾고 논리적 구사를 생명으로 하는 언어에서 자칫 '대충' 써도 통한다는 그릇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조심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