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외톨이’ 고령화 사회 문제로
90년대 취업 빙하기 좌절 맛보고
‘잃어버린 20년’ 재기 못 한 사람들
"나 없이 아들 어쩌나” 노모의 절규
80대가 50대 돌보는 ‘8050문제’
“20년 만에 처음 봤어요. 우리 아들이 저렇게 늙었다니.”
‘히키코모리’라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일본어로 ‘틀어박히다’라는 뜻의 ‘히키코모루(引き籠もる)’에서 온 말로 한국어로는 ‘은둔형 외톨이’라 번역합니다. 일본 후생노동성 정의에 따르면 ‘직장에도 학교에도 가지 않고, 가족 이외의 사람과는 거의 교류하지 않으며, 6개월 이상 계속해서 자택에 갇혀 지내는 상태의 사람들’을 일컫는데 1990년대 일본에서 등장한 신조어입니다.
그동안 일본에서 히키코모리는 ‘청소년’ 혹은 ‘청년 세대’ 문제로 다뤄졌습니다.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거나 취업에 실패한 후 자신만의 세계에 갇힌 젊은이를 연상시키는 말이었죠. 하지만 90년대 방 안으로 들어간 이들이 그 안에서 조용히 나이를 먹고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이 잊고 있었습니다.
일본 정부가 5년 단위로 발표하는 히키코모리 관련 조사에 따르면 2010년 70만 명이었던 히키코모리의 수는 2015년엔 54만 명으로 대폭 줄었습니다. 하지만 이 통계가 발표된 후 전국 각지의 관련 단체들이 조사의 ‘허점’을 지적합니다. 정부 집계 대상이 ‘15~39세’로 한정돼 40세가 넘는 대다수 히키코모리들의 실태가 포함되지 않았다는 겁니다.
히키코모리의 장기화, 고령화가 불러온 위기는 심각합니다. 부모가 경제 활동을 하는 동안은 자녀가 집에만 틀어박힌다 해도 기본적인 생계 유지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히키코모리들이 40~50대가 되면, 부모는 70~80대가 됩니다. 수입은 끊어지고, 건강은 악화되죠. 이런 상황 하에서 부모와 자식이 모두 사회로부터 고립돼 ‘공멸’로 이어지는 위기를 일본에서는 ‘8050문제’라고 부릅니다.
2015년, 나라(奈良)현의 한 가정집에서 81세 여성의 시신이 발견됩니다. 영양실조로 인한 쇠약사였지만 한동안 누구도 그의 죽음을 눈치채지 못했습니다. 이웃의 신고로 출동한 경찰은 처음엔 홀로 사는 노인의 ‘고독사’로 생각했죠. 하지만 집 안에는 20년 넘게 집 밖으로 나오지 않은 56세의 히키코모리 아들이 쓰레기 속에 어머니의 시신을 방치한 채, 부모의 연금을 받으며 살고 있었습니다.
2016년에 니가타(新潟)에서는 70대 어머니가 50대의 히키코모리 아들을 죽이고 자신도 목숨을 끊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내가 죽으면 아들은 굶어죽고 말 것’이란 절망이 빚어낸 비극이었죠. 그런데 이들은 애초에 왜 방 안으로 들어가게 되었을까요. 히키코모리 현상을 두고 일각에선 개인의 유약함이나 게으름을 지적하곤 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틀어박히게 된 계기는 보다 사회적인 것이었습니다.
현재 30대 후반~40대의 중년 히키코모리들은 이 시기 사회에서 제 자리를 찾지 못한 ‘로스트 제너레이션’(잃어버린 세대)의 일원이었습니다. 경제적 기반이 탄탄하지 못한 탓에 좀처럼 독립을 하지 못하고, 부모님의 경제력에 의지해 살았습니다. 이후 ‘잃어버린 20년’을 지나며 방을 나올 기회를 찾지 못했죠. 그렇게 ‘한번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기 힘든 구조’가 만들어낸 ‘문제 중년’이 되었습니다.
중장년 히키코모리 문제가 터져나오자 일본 정부는 뒤늦게 실태 조사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11월부터 40~64세 히키코모리 5000명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시선을 안으로 돌려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7월 한국의 청년 실업률은 9.3%, 청년 실업자 수는 40만 9000명에 달합니다. 한국의 청년 니트족이 178만 명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죠. 우리의 20년 후는 어떤 모습일까요. 중년 히키코모리 문제를 그저 외국 드라마 속 이야기로만 치부하기 어려운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