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천생연분은 코로 느낀다

또다른공간-------/알아두면좋다

by 자청비 2008. 1. 18. 18:49

본문

천생연분은 코로 느낀다 

 <연합뉴스> 

 

   
남녀가 첫눈에 반하는 데는 낭만이 아닌 과학이 더 많이 작용하며 오감, 그 중에서도 후각이 특히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 최신호가 보도했다.

 

러트거스 대학의 인류학자 헬렌 피셔 교수 등 학자들에 따르면 남녀가 사랑에 빠지는 것은 번식의 욕구 때문이며 두뇌와 오감이 고도의 협력 작용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짝을 찾게 된다. 높은 이마에 큰 눈, 작은 코, 깨끗한 피부 등 젊음을 시사하는 시각적 요인들이 `첫눈'에 반하게 만드는 역할을 어느 정도 하지만 결정적인 것은 `첫 맛, 첫 냄새'라고 학자들은 지적한다.

 

여성은 첫 키스를 통해 상대가 자신에게 맞는 지 여부를 느낌으로 알게 되는데 이는 남성의 침에 들어있는 테스토스테론의 맛으로 상대의 유전자가 자신의 유전자와 궁합이 잘 맞는지, 즉 건강한 아기를 낳을 수 있을 지를 판단하게 된다는 것이다.

 

키스를 할 때 MHC라는 유전자 덩어리가 교환되는데 만일 유전자가 너무 비슷하면 아기를 만삭까지 키워 내기가 어렵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후각이어서 상대의 냄새가 마음에 들어야 한다. 이성을 유혹하는 화학물질 페로몬도 중요하고 여성의 배란주기도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

 

최근 한 연구에서는 배란주기에 있는 무희들이 시간당 70달러의 팁 수입을 올린 반면 그렇지 않은 무희들의 팁은 35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굵고 자신감 있는 목소리를 가진 남성은 여성에게 인기가 있는데 이는 이런 목소리가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목소리가 굵은 남성일수록 자식이 많다는 연구도 있다.

 

피셔 교수에 따르면 "촉각은 오감의 어머니"이다. 다른 사람의 손길을 느끼면 두뇌 세포들이 맹렬한 활동을 벌인다. 그런데 이렇게 두뇌와 오감이 총동원돼 이루어진 사랑이 잘못 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많은 학자들은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들은 조작된 호르몬 분비로 오감이 변화한 상태에서 맞지 않는 상대를 고르게 된다고 지적한다. 피임약을 복용할 때 좋아하게 된 남성이 약을 끊으면 정 떨어지는 것이 그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죽음이나 비행기 추락사고 같은 정서적 위기를 함께 겪은 남녀가 자신들이 사랑에 빠졌다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고 술이나 약물로 혼란이 생길 수도 있다.

 

이밖에도 교제 초기에 성관계를 갖게 되면 상대에 대해 매력이 없다는 인상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관계가 자꾸 틀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남녀에겐 이런 설명은 아무런 설득력도 갖지 못한다. 발이 공중에 떠 있는 그들은 그저 자신들을 "세상에서 가장 운 좋은 사람"들로 생각할 뿐이다.

 

 

사랑에 빠지면 정말로 안 보인다 

 

   "사랑은 눈을 멀게 만든다"는 말이 사실임이 과학자들의 연구로 밝혀졌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UCLA) 연구진이 진화와 인간행동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사랑에 빠져 있는 젊은이들은 제아무리 매력적인 다른 이성이 눈 앞에 있어도 거들떠 보기는 커녕 알아 차리지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현재 이성과 진지하게 연애 중이라고 밝힌 학부 학생 120명에게 중매 웹사이트 e하머니에 등재된 매력적인 이성들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가장 매력적인 사진을 고르도록 주문하는 한편 현재 진행중인 연애 상대, 또는 쓰고 싶은 주제에 관한 글을 쓰도록 주문했다.   이들이 글을 쓰는 동안 연구진은 피실험자들에게 웹사이트에 등장한 매력남, 또는 매력녀를 잊어버리라고 주문하고 그러면서도 혹시 이들의 사진에 대해 생각한 적이 있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 연애상대에 관해 글을 쓴 피실험자들은 다른 주제에 관해 글을 쓴 그룹에 비해 웹사이트의 매력적인 이성에 관해 생각했다는 비율이 6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어 사진 속의 매력적인 이성을 기억해 내도록 주문했는데 이때 애인에 관해 글을 쓴 그룹은 사진 속 이성이 입은 옷의 색깔, 사진의 배경이 뉴욕이었는지 여부 등은 기억했지만 용모의 특징은 자세히 기억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피실험자들의 기억에 전반적인 장애가 일어나진 않았지만 사진 속 인물의 매력적 요소들은 선택적으로 제외시켜 버린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이들은 "한 이성과 사랑에 빠지면 다른 사람들은 모두 매력이 없어지는 것 같다. 이런 감정은 매우 구체적인 방식으로 작용해 매력적인 다른 이성의 존재를 머리에서 밀어내는 것처럼 보인다"면서 "사랑은 멀쩡한 사람의 눈에 일종의 가리개를 씌우는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