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본시/본디/본래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by 자청비 2008. 9. 14. 22:04

본문

 

본시, 본디, 본래를 갈라볼게요.  네이버에서 웹문서를 검색해 보니 본디는 191,202건,  본래 2,640,747건, 본시는 127,479건이 나오네요.('본시'에는 '본시험', '본시리즈' 따위도 함께 나왔습니다.) 뜻은 다 비슷합니다.  처음을 뜻합니다.

 

본래(本來)는 "사물이나 사실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는 뜻으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고, '본디'로 다듬어서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본시(本始)는 "맨 처음"을 뜻하는 시초와 같은 뜻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본디(本-)는 "사물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이라 풀었네요.

 

뜻이 비슷하거나 같다면, 저는 한자가 하나라도 적게 들어간 '본디'를 쓰겠습니다. ^^*  어떤 학자는 본디의 '디'도 地 자에서 왔다고 설명하십니다. '본지'라는 말이 '본디'로 바뀌었다는 거죠.  자음 'ㄷ' 이 모음 'ㅣ'와 만나서 'ㅈ'으로 변하는 구개음화와 구개음화역행으로 설명합니다. 미닫이가 미다지로 되기도 하지만 본지가 본디로 되기도 한다는 거죠.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우리말123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가 아닙니다. 배상복 기자가 쓴 글을 붙입니다. 배상복 기자님께 미리 허락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신문에 나온 글이기에 따왔습니다.

 

다음 중 ‘추석’의 순 우리말을 고르시오.

㉠중추절 ㉡중추가절 ㉢한가위 ㉣대보름

 

여름휴가를 다녀온 지가 엊그제 같은데 계절은 벌써 가을로 들어서고 추석이 며칠 남지 않았다. 추석은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햇과일 등 음식을 장만해 조상께 차례를 지내는 날이다.

 

‘추석(秋夕)’의 순 우리말은 ‘㉢한가위’다. ‘한가위’는 신라의 ‘가배(嘉俳)’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가배’는 『삼국사기』에 기록이 나오며, ‘가운데’를 뜻하는 우리말 ‘가’를 한자로 옮긴 것이다. ‘가’가 ‘가위’가 됐고, 정 중앙을 뜻하는 ‘한’과 결합해 ‘한가위’가 됐다고 한다.

 

‘추석’이란 말은 중국 『예기(禮記)』의 ‘조춘일 추석월’에서 나온 것이다. 중추절(仲秋節)·중추가절(仲秋佳節)은 가을을 초추·중추·종추 세 달로 나누는데 음력 8월이 중간에 들어 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 ‘대보름’은 정월 보름날(음력 1월 15일)을 일컫는 말로 추석과 관계가 없다.

 

명절인 음력 8월 15일을 요즘은 주로 ‘추석’과 ‘한가위’라 부르고 있다. 큰 관계는 없으나 이왕이면 순 우리말인 ‘한가위’로 부르는 것이 낫겠다. 

 
 
 

'마감된 자료------- > 성제훈의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래카드/워크숍/리플릿  (0) 2008.09.17
늘그막/늙바탕  (0) 2008.09.16
거꾸로  (0) 2008.09.11
군물  (0) 2008.09.10
결곡하다  (0) 2008.09.09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