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탈린 vs 히틀러

읽고쓰기---------/좋은책읽기

by 자청비 2009. 1. 2. 07:18

본문

스탈린·히틀러, 같은 듯 다른 ‘20세기 쌍둥이 독재자’

 

[서울신문]

 

1941년 6월22일 독일은 180만 병력을 투입해 소련을 기습공격했다. 독일군은 2개월 이내에 전쟁을 승리로 이끈다는 히틀러의 계획에 따라 키예프, 레닌그라드, 모스크바로 진격했다. 하지만 막강한 소련군에 막혀 전쟁은 4년이나 지속됐고, 상황은 역전되어 1945년 4월 스탈린의 붉은 군대가 베를린을 점령했다. 히틀러의 최대 적수는 미·영 연합군을 이끈 처칠이나 루스벨트가 아니라 동시대 최악의 독재자로 쌍벽을 이룬 스탈린이었던 것이다.


히틀러(1889~1945)와 스탈린(1879~1953).역사에서 가정은 무의미하다지만 두 사람이 서로 싸우지 않고 협력했더라면 어땠을까.아마도 세계의 운명은 한층 비참하고 끔찍했을 것이다.실제 스탈린과 히틀러도 이런 생각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스탈린은 "독일인과 함께했다면 우리는 무적이었을 것"이라고 했고,히틀러는 "양측에서 냉철한 현실주의의 정신을 지녔다면 영구적으로 동맹할 수 있는 상황을 창조했을지도 모른다."고 술회했다.

1939년 독·소불가침조약에도 불구하고 히틀러는 왜 스탈린과 정면대결을 벌였을까.역사학자 리처드 오버리의 '독재자들'(조행복 옮김,교양인 펴냄)은 두 체제의 성립 배경과 작동 방식,이데올로기적 지향의 닮은 점과 차이점을 다면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이 같은 물음에 해답을 제시한다.

두 독재 체제는 제1차 세계대전의 패배라는 특정한 역사적 사건을 발판으로 삼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패전 후 러시아는 차르 제국에서 공산주의 공화국으로, 독일은 권위주의적 제국에서 의회제 공화국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정치적 폭력과 경제 위기가 촉발됐다. 공통으로 발생했던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소련에서는 부르주아를 파멸시켜 혁명에 유리하게 작용했고, 독일에서는 파산한 예금주들의 분노가 히틀러식 민족주의의 등장에 기여했다. 공산주의 소련과 1914년 전쟁을 일으킨 독일은 국제 사회로부터 천민 취급을 받았으며, 고립감 때문에 한층 더 극단적인 형태로 나아갔다. 이것이 결국 독재 체제를 출현시켰다.

국가 운영에서도 비슷했다. 대중의 지지를 구하고 유지한 방식,국가의 억압을 확립하고 법률 제도를 파괴한 방식, 문화의 전유와 착취, 대중적 군국주의의 표현과 총력전 수행에서 그렇다.

하지만 두 체제 사이에는 타협할 수 없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었다. 스탈린은 공식적으로 공산주의 유토피아의 건설을 공언했지만 히틀러와 국가사회주의는 마르크스주의를 혐오했다. 히틀러는 볼셰비즘을 서구 문명의 생존을 위협하는 주적(主敵)으로 보았다. 반면 스탈린은 히틀러의 독일을 가장 위험한 제국주의 국가로 믿었다. 독재자의 DNA를 공유했던 두 사람 사이에는 이처럼 한쪽을 파멸시켜야 한쪽이 살아남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이다.

책은 1990년대 이후에 발굴된 수많은 통계와 연구논문들, 독재 체제를 살았던 실존 인물들의 증언과 기록 등 방대한 자료 분석을 근거로 히틀러의 독일과 스탈린의 소련을 입체적으로 재구성했다. 그 중에서도 두 독재자가 어떻게 그토록 대중의 열광적 지지를 받았는지를 분석한 대목은 흥미롭다.

지은이는 독재자와 국민의 관계가 복잡하고 양면적이었으며 때로는 모순되기도 했다고 지적한다. 국민들은 오랫동안 정치적 불안정과 내전, 폭력, 경제적 궁핍의 시절을 보냈다. 위기에서 구해줄 영웅을 갈구했고, 두 지도자는 이들의 심리적 불안정과 지도자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

스탈린과 히틀러의 독재 체제가 대중의 갈채와 참여, 무제한의 권력에 대한 매혹이 길러낸 대중주의적 독재체제였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위기는 진정한 영웅을 만들기도 하지만 최악의 독재자를 탄생시키기도 한다는 역사적 사실은 총체적 경제난국으로 전 세계가 신음하는 이때, 다시금 되돌아봐야 할 교훈이 아닐까.

 

★저 자 소 개★

리처드 오버리(Richard Overy, 1947~ )
제2차 세계대전과 독일 제3제국에 대한 광범위하고 깊이 있는 연구로 명성을 얻은 역사학자. 케임브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72년부터 1979년까지 케임브리지 퀸스칼리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1980년에 런던 킹스칼리지로 옮겼다. 킹스칼리지에서 현대사 교수로 재직하다, 2004년에 엑스터대학으로 옮겼다.
제2차 세계대전에 관한 오버리의 연구는 진실을 가리는 "신화들을 아주 효과적으로, 가차없이 해체하는 매우 근본적이면서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고 있으며, 학자로서 언제나 논쟁의 최전선에서 물러섬 없이 " 신랄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저서로 《Why the Allies Won》《Russia's War》《The Origins of the Second World War》《The Battle of Britain》 등 다수가 있다. 2001년에 전쟁사 연구에서 이룬 업적을 인정받아, 전쟁사 연구자들의 국제적 모임인 미국 군사사학회에서 수여하는 '새뮤얼 엘리엇 모리슨 상'을 받았다. 2004년에는 《독재자들》로 그해 영국에서 출간된 가장 탁월한 역사 저술에 수여하는 '울프슨 역사상'을 받았다.

역자(譯者) 조행복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옮긴 책으로《종말의 역사》,《1421-중국, 세계를 발견하다》,《백두산으로 가는 길-어느 영국군 장교의 백두산 등정기》,《포스트워 1945∼2005》등이 있으며, 현재 강릉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