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흘째 ‘사과 한마디’조차 없는 정부 | |
청와대도, 경찰도, 지자체도 책임회피 “대통령 사과” “무리한 진압” 여론 외면 농민시위 사망·숭례문 화재 때와 대조 | |
<한겨레> |
|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1일 오전 청와대 수석회의에서 용산 참사에 대해 “인명 희생이 빚어진 것은 참으로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일”이라며 에둘러 유감을 표현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그 뒤 경찰청장으로 내정된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이 진압을 승인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도 “진상 규명 먼저”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사과도 문책 인사도 하지 않고 있다.
무리한 진압으로 참사의 빌미를 제공한 경찰에서도 공식 사과는 없다. 김석기 서울경찰청장은 참사를 일으킨 진압 작전을 승인한 당사자지만 강력한 사퇴 여론에도 불구하고 사과도 하지 않은 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사회동향연구소의 여론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60%가 참사의 책임이 무리한 진압을 한 경찰에 있다고 답했다.
도시정비사업정책의 포괄적인 책임을 지고 있는 서울시도 참사에 대해 공식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사고 당일 현장을 방문해 “개별적인 재개발 방식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숭례문 화재 사건 당시에는 오 시장과 김동일 중구청장이 “책임을 통감한다”며 국민에게 사과했고, 유홍준 문화재청장은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용산4구역 주거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정비구역 지정, 조합설립 인가, 관리처분계획 인가 권한을 가진 용산구청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용산구청은 조합 쪽이 세입자에게 동산이전비를 지급하지 않는 등 불법행위를 했는데도 행정지도를 제대로 하지 않아 세입자의 권리를 방치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심지어 박장규 구청장은 사건 당일, 숨진 세입자들을 비하하는 발언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용산구 관계자는 “구청장이 따로 사과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
"올 세계경제 성장 멈출수 있다" (0) | 2009.01.29 |
---|---|
"모두가 황제처럼 떠받드니까" (0) | 2009.01.29 |
"정부가 금융위기를 경제위기로 키워" (0) | 2009.01.29 |
"철거민 참사보다 이후 정부대응 더 무서워 (0) | 2009.01.28 |
한국의 파시스트들 (0) | 2009.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