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반이 동백을 집안에 심지 않은 까닭은?
전남 나주시 남평읍 연분홍 복사꽃이 활짝핀 복숭아 과수 농가에서 한 주민이 나무에 비료를 주며 농사 준비에 분주하다. [중앙포토]
봄이 되면 나무 심는 일이 많아진다. 특히 4월에는 식목일이 있어 나무 심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단독주택에 사는 사람들은 마당에 각종 나무를 심고, 아파트 등에 사는 사람들도 화분에 갖가지 나무를 심거나 키운다. 그런데 옛날부터 집에는 심거나 키우지 않는 나무가 있다고 한다.
복숭아 나무 …며느리 바람난다 멀리해
먼저 복숭아나무. 복숭아나무는 예쁜 꽃을 피우고 맛있는 복숭아도 열리는데 왜 집에는 심는 것을 금기시한 걸까. 복숭아는 예로부터 신선이 먹는 과일이고 신령스러운 나무여서 요사스러운 기운을 쫓아내고 잡스러운 귀신을 몰아내는 힘이 있는 나무라고 여겼다. 중국의 4대 기서 중 하나인 『서유기』에도 손오공이 하늘에 올라가 천도를 따먹고 무시무시한 힘과 영생을 얻은 것으로 나온다. 복숭아는 귀신을 쫓기 때문에 제사상에도 올리지 않는 음식 중의 하나였다. 그런 복숭아나무지만 꽃이 피면 화려한 색과 은은한 향기에 과년한 딸이나 갓 시집온 며느리가 바람이 난다고 여겨 멀리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가정집에서 복숭아나무는 찾아보기 힘들다. 잣나무와 녹나무도 독특한 향기가 있는데 그것이 귀신을 쫓는다고 해 집안에 잘 심지 않았다.
전라남도 해남의 한 느티나무. [사진 전라남도]
능수버들…밤에 보면 머리 풀어 헤친 귀신 닮아
마을 입구에 흔히 있는 정자나무인 느티나무와 팽나무도 집에 잘 심지 않는 나무다. 느티나무와 팽나무는 제사(동제)를 지내는 신성한 나무로 여겨졌다. 성황당에 있는 신목을 집안에 심기는 부담스러웠을 거라는 해석이 많다. 버드나무도 귀신이 나와서 집에 잘 심지 않는다고 한다. 옛이야기 중에는 ‘비 오는 날 밤에는 도깨비들이 버드나무 아래서 춤을 추고 논다’거나 ‘100살 넘은 오래된 버드나무는 비 오는 깜깜한 밤에 도깨비불이 나온다’는 내용도 많다. 능수버들의 축 처진 가지는 깜깜한 밤에 보면 초상이 나서 머리를 풀어헤친 사람을 닮아 귀신같다고 여겨 집안에 안 좋은 일이 생긴다는 생각에 잘 심지 않았단다.
강원 홍천군 내면 광원리 은행나무 숲을 찾은 어린이들이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단풍길을 걸어가고 있다. [중앙 포토]
서민들의 집에만 심지 않았던 나무도 있다. 은행나무는 공자나무라고 해서 향교나 서원에만 심었다. 회화나무는 학자나무라고 해서 높은 벼슬에 오른 집에서만 심을 수 있었다. 과거에 급제한 등 큰 벼슬을 얻은 집안에서 심은 기념식수인 셈이다. 시골 명문가에 가면 심심찮게 회화나무를 볼 수 있다. 능소화나무는 중국에서 사신단을 통해 들어오면서 귀한 대접을 받은 양반 나무로 불리기도 하는데 서민의 집에서 키우다 들키면 큰 화를 당하기도 했단다.
동백나무…한 번에 떨어지는 꽃잎이 역모죄로 목잘리는 모습 연상
동백나무는 양반들이 매우 싫어해 양반가에는 심지 않았던 나무다. 동백은 꽃도 예쁘고 동백기름은 머릿기름을 만들 때 요긴하게 쓰였는데 왜 심지 않았을까. 답은 동백의 지는 모습에 있다. 동백은 꽃잎이 떨어질 때 꽃 전체가 한 번에 툭~툭~ 떨어진다. 역모죄로 목이 잘려나가는 모습과 닮았다고 한다. 역모죄를 뒤집어쓰면 자손 대대로 조정에 출사할 수 없었던 당시 시대를 생각하면 동백나무는 양반들에겐 떠올리고 싶지 않은 모습을 간직한 나무였을 것이다. 반면 동백의 주산지인 거제와 통영에서는 예전부터 집에서 동백나무를 소중히 길러 기름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하기도 했다.
환경과 생태를 연구해 온 정대수 경남교육청 체육건강과 장학사는 “집안에서 금기시됐던 나무는 주로 귀신을 쫓는 나무, 혹은 여인의 지조와 절개를 훼손하는 나무, 신분에 맞지 않는 나무가 대부분이다”며 “대신 집안에는 잘 심지 않았지만, 이들 금기 나무들은 오늘날 식당 이름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옛날 큰 나무 아래에서 이뤄졌던 공동체 문화에 대한 추억 혹은 흔적이 남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참고도서=『산림경제』(홍만선, 한국학술정보)·『한국민속식물』(최영전, 아카데미서적)·『한국민속대백과사전』(국립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