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제 일터는 조직 이름이 바뀌어 명함을 새로 만드는 분이 많으시네요. 제 명함도 새로 만들고 있습니다. ^^* 오늘은 명함에서 흔히 틀리는 것 몇 가지 알아볼게요.
먼저, 이름 쓸 때는 성과 이름을 붙입니다. 성제훈이나 홍길동처럼 씁니다.
다음은 영어 명함입니다. 이것부터 틀렸네요. 영어 명함이 아니라 로마자 명함입니다. 제 이름을 영어로 쓰면 Richard Sung이나 뭐 이런 게 되어야 할 겁니다. 제 이름 성제훈을 Sung Jehun으로 쓰는 것은 영어로 쓰는 게 아니라 로마자로 쓰는 겁니다. 제 영어 이름은 없습니다. ^^*
로마자로 쓸 때 Je Hun Sung Je Hun, Sung Je-Hun, Sung J. H. Sung J. H., Sung J-H, Sung JH, Sung Sung, Je Hun Sung, Je-Hun Sung Je Hun 으로 쓰는 것은 틀립니다. 성이 앞에 오고, 성과 이름을 띄어 쓰되 이름 두 자는 붙여 써야 합니다. 따라서 제 이름 성제훈을 로마자로 쓰면 Sung Jehun이라 써야 바릅니다.
주소를 쓸 때도 조심할 게 있습니다. 수원시를 로마자로 쓰면 Suwon-si라고 씁니다. 행정구역 단위와 이름은 띄어 쓰고 그 앞에 붙임표(-)를 넣습니다. 경기도는 Kyeongkido가 아니라 Gyeonggi-do라고 씁니다.
이런 것은 로마자표기법에 나옵니다.
우리말은 공기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맑은 공기를 마셔야 건강하듯, 깨끗하고 고운 우리말을 써야 제 정신과 넋도 건강해지리라 믿습니다.
우리말과 글을 함부로 쓰기에는 너무 아깝지 않나요? 함부로 쓰지 못하게 관련 규정을 만들어 뒀는데, 왜 그 규정을 무시하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어문규정에도 문제는 많습니다.
특히나, 맞춤법에는 성과 이름을 붙이게 되어 있지만, 한글학회는 성과 이름을 띄어서 씁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제 이름을 '성제훈'이라 하고, 한글학회에서는 제 이름을 '성 제훈'이라 씁니다. 국립국어원과 한글학회가 이렇게 따로 놀면 우리 같은 사람은 어딜 따라야 하죠?
어문규정에 이상한 규정도 많고, 이해 못할 곳도 있지만, 다 우리말과 글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뜻에서 만들었다면, 관심을 두고 따르는 게 바르지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위 글에 대한 댓글과 답변
1. 성제훈을 로마자로 쓰면 Sung Jehoon이라고 말씀드렸더니, 성은 Seong가 맞다고 꼬집어 주셨습니다. 맞습니다. '성'은 Seong입니다. 다만, 예전부터 이름에 쓰던 로마자는 그대로 인정합니다. 그래서 '박'은 로마자표기법에 따르면 Bak이지만, Park이나 Pak로 써도 됩니다. 김도 Gim, Kim 모두 쓸 수 있습니다.
2. 다른 나라에서는 성과 이름을 확실하게 가르고자 쉼표를 쓰니까 우리도 이름을 로마자로 쓸 때 성과 이름 사이에 쉼표를 넣는 게 맞다고 주장하셨습니다. 로마자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4항에 보면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보기로 두 개를 들었습니다. 민용하 Min Yongha (Min Yong-ha) 송나리 Song Nari (Song Na-ri) 이 두 가지 밖에는 현재 쓰는 우리나라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3. 현행 맞춤법에서는 성과 이름를 각각 개체로 보고 이 안에서는 두음법칙의 적용을 받습니다. 그리고 성과 이름을 하나로도 봅니다. 따라서 선동열이 아닌 선동렬이 맞습니다. 그러나 선열동이라면 같은 한자를 쓰더라도 선렬동이 아니라 선열동이 맞습니다. 이름 '열동'에 두음법칙을 적용한 거죠.
이런 것을 버리고자 이봉원 님은 이름에서 한자를 떼 버렸습니다. 작년까지는 류성룡이라 쓰면 틀리고 유성룡이라 써야 맞았습니다. 이름을 하나로 보고 맨 앞에 오는 성에 두음법칙을 적용한 겁니다.
이렇게 1996년부터 대법원호적예규에 따라 이름에도 두음법칙을 쓰라고 하니 불편한 점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각 종친회의 청원과 뜻있는 분들이 힘써 대법원의 위헌결정을 받아 냈고 그에 따라 2007년 8월1일부터 두음법칙에 불구하고 성으로 '라, 리, 류'를 쓸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맞춤법이 이렇게 어렵고, 로마자표기법이 헷갈리게 되어 있는 것을 두고, 저를 나무라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저는 죄 없습니다. ^^* 그냥 있는 사실을 알려 드린 죄 밖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