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외면적인 삶의 노래

한라의메아리-----/주저리주저리

by 자청비 2009. 2. 22. 15:22

본문

  

외면적인 삶의 노래 


 
후고 폰 호프만스탈/ 김주연 역
 

                               그리고 아이들은 깊은 눈망울을 갖고 자란다.
                               그들은 아무것도 모르고 자라며 또 죽어간다.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길은 간다.

                                       

                               그리고 달콤한 열매는 떫은 곳에서 나와
                               죽은 새처럼 밤이면 떨어지고
                               며칠 지나지 않아 썩어간다.

 

                               그리고 항상 바람이 분다. 항상
                               우리는 많은 말들을 듣고 말하며
                               육신이 쾌락과 피곤을 좇는다.

 

                               풀 사이로 거리가 달린다. 이곳 저곳이
                               모두 장소다. 햇불들, 나무들, 못들로 가득한,
                               그리고 위협하는 듯한, 지독히도 메마른…

 

                               이런 것들은 무엇을 위해 세워진 것인가? 그리고 서로서로
                               결코 비교될 수 없는 것인가? 무수히 많은가?
                               웃음, 울음과 창백해지는 것 따위를 무엇과 바꾸겠는가?

 

                               이런 모든 것들이 우리에게 무슨 소용이 있으며,
                               우리가 엄청나게 또 영원히 고독한 채
                               방황하면서도 아무 목적을 추구하지 않는 이 놀이는 무엇입니까?

 

                               그와 같은 것을 많이 본다는 것이 무슨 소용입니까?
                               그럼에도'저녁'이라고 자주 말하는군요.
                               거기서 깊은 의미와 슬픔이 솟아나는 한마디의 말.

 

                               마치 텅빈 벌집에서 나오는 짙은 꿀처럼

                                        
 

[Hugo von Hofmannsthal, 1874.2.1~1929.7.15]
오스트리아의 시인 ·극작가. 17세 때 운문극인 '어제'를 발표하여 조숙한 천재성으로 주목받았다. 운문극 '티치안의 죽음', '치인과 죽음' 등을 발표하였고 오페라 '바라의 기사'의 대본을 쓰기도 했다. 독일 문화유산의 검증문제로 고심하면서 '독일어의 가치와 영예'를 집필하였다.


 

 

AnotherBrickintheWall,Pt[1].wma

 

 

 

AnotherBrickintheWall,Pt[1].wma
1.85MB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