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시 준비사항
라디오나 TV의 무더위 관련 기상상황에 매일 주목하세요.
정전에 대비 손전등, 비상 식음료, 부채, 휴대용 라디오 등을 미리 확인해 두세요.
집에서 가까운 병원의 연락처를 확인하고 본인과 가족의 열사병 등 증상을 체크하세요.
단수에 대비하여 생수를 준비하고 생활용수는 욕조에 미리 받아 두세요.
냉방기기 사용시는 실내ㆍ외 온도차를 5℃내외로 유지하여 냉방병을 예방하세요.(건강 실내 냉방온도는 26℃~28℃가 적당)
변압기의 점검으로 과부하에 사전대비하세요.(특히, 오래된 공동주택은 각별히 주의)
창문에 커튼이나 천 등을 이용, 집안으로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최대한 차단하세요.
차량의 장거리 운행계획이 있다면 도로의 변형 등으로 교통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히 검토하세요.
폭염 대비 행동요령
개인
1. 한낮의 뜨거운 햇볕은 피해야 합니다. 온도가 높은 한낮에는 되도록 천천히 걷고 격렬한 운동은 삼갑시다. 노약자는 야외활동을 삼가고 시원한 장소를 찾아 더위를 피합시다. 외출 시에는 가볍고 밝은 색 계통의 얇은 옷을 헐렁하게 입고, 챙이 넓은 모자나 양산을 써서 햇볕을 가립시다. 피부가 장시간 햇빛에 노출될 때는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 피부를 보호합시다. 야외 근무자는 시원한 장소에서 평소보다 자주 휴식을 취합시다.
2. 식사는 균형 있게, 물은 많이 섭취해야 합니다. 육류, 생선, 콩, 잡곡, 신선한 야채·과일 등을 골고루 충분히 섭취합시다. 단, 한꺼번에 많이 먹는 것은 피합시다. 탄산ㆍ알코올ㆍ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는 피하고, 물은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규칙적으로 자주 마십시다.
3. 위생적인 생활 습관을 갖도록 합시다. 물은 끓여 먹고, 날 음식은 삼갑시다. 손발을 깨끗이 하고 손톱은 짧게 깎읍시다.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말고 조금이라도 상한 음식은 버립시다. 조리 기구는 청결히 사용합시다.
4. 편안한 잠자리를 갖도록 합시다. 찬물보다는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것이 숙면에 좋습니다. 자고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고, 낮잠은 오래 자지 맙시다. 잠들기 전의 심한 운동은 피하고, 규칙적으로 가볍게 운동합시다. 잠들기 전에는 수분을 많이 섭취하지 말고, 허기질 때는 우유 한 잔 정도를 먹고 잠자리에 듭시다. 커피, 홍차 등 카페인 함유 음료와 술·담배는 삼갑시다. 잠들기 전에 정신적 긴장감을 줄 수 있는 드라마 시청, 컴퓨터 게임 등은 하지 맙시다. 잠이 오지 않을 때는 '자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리고 간단한 일을 하거나 독서를 합시다.
농가
농가에서는 가축 및 작물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축사 천장에 단열재를 부착합시다. 축사주변과 운동장에 차양을 설치합시다. 창문을 개방하고 선풍기나 환풍기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환기를 실시하며, 사육밀도를 적정하게 유지합시다. 사육장 천장에 물 분무장치를 설치하여 열을 식혀주도록 합시다. 축사와 운동장의 분뇨를 제거하고 건조하게 유지합시다. 깨끗한 물을 마시게 하고 비타민과 미네랄 섞은 사료를 먹입시다. 곰팡이가 피거나 오래된 사료는 주지 맙시다. 모기 퇴치기구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축사를 소독합시다. 비닐하우스의 고온피해 방지를 위해 차광ㆍ수막시설을 설치합시다. 병해충 발생 증가에 대비하여 방재에 힘씁시다. 노지재배 채소에 대해서는 스프링클러 등으로 살수작업을 합시다.
양식어장
어장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환수량은 최대한 늘이고, 먹이 공급량과 사육밀도는 하향 조절합시다. 액화산소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불어 넣는 시설을 설치합시다. 차광막을 설치하고 저층수와 상층수를 뒤섞읍시다. 물고기의 생리적 약화에 의한 어병 확산을 방지합시다. 고온과 습기로 사료가 부패하지 않도록 유의합시다.
<출처 : 소방방재청>
하루 30분 걷기로 건강 지킨다 (0) | 2010.08.02 |
---|---|
운동에 관한 잘못 알고 있는 상식들 (0) | 2010.07.28 |
뱃살 빼는 생활수칙 (0) | 2010.07.16 |
비만을 부르는 달콤한 악마, 당 (0) | 2010.07.16 |
복부비만, 대사증후군 위험 높아져 (0) | 2010.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