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동 고시촌 상징 ‘광장서적’ 부도
경향신문 2013-01-07
서점의 죽음
송 재 소 (성균관대 명예교수)
지난 달 모 일간지에는 우리나라 서점의 실태를 조사한 기사가 실렸다. 이 기사에 의하면 한국출판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249개 시‧군‧구의 서점을 조사한 결과, 경북 영양군을 비롯한 4개 군은 서점이 하나도 없는 ‘서점 사망 지역’이고, 강원도 고성군을 비롯한 30곳은 서점이 1개 뿐인 이른바 ‘서점 멸종 위기 지역’으로 파악되었다. 대도시도 예외가 아니어서 인구 5만 명당 서점이 1개 미만인 지역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역시 한국출판연구소 자료에 의하면 1997년에 전국 5407개에 달하던 서점이 2011년에는 1752개로 줄었다고 하니 이대로 가다가는 머지않아 정말 서점이 ‘멸종’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추억 속으로 사라져가는 서점들…
서점의 위기를 실감할 수 있는 곳이 대학가이다. 대학가에 한 두 개씩 있었던 서점들이 문을 닫고 지금은 그 자리에 미용실, 술집, PC방, 양장점들이 들어서고 있다. 대학가가 이럴진댄 다른 곳은 말 할 필요도 없다. 한가하게 구경하고 책을 고를 수 있는 동내서점이 사라진 지는 오래 되었다. 한 때 호황을 누리던 온라인 서점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라고 한다. 이른바 5대 온라인 서점 중에서 대교리브로가 이미 폐업을 선언했고 나머지 온라인 서점의 폐업도 시간문제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서점은 책을 판매하는 곳이다. 서점이 사라진다는 것은 책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책이란 무엇인가? “좋은 책을 읽는 것은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과 같다”는 데카르트의 말이나 “책 속에는 모든 과거의 영혼이 가로 누워있다”는 카알라일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책은 인간의 영혼을 살찌우는 가장 훌륭한 반려자이다. 중국 송나라의 정치가이자 문학가인 왕안석(王安石)도 이런 시를 남겼다.
가난한 자, 책으로 인하여 부유해지고 貧者因書富
부유한 자, 책으로 인하여 귀해지며 富者因書貴
어리석은 자, 책을 얻어 현명해지고 愚者得書賢
현명한 자, 책으로 인하여 이로워지니 賢者因書利
책 읽어 영화 누리는 것 보았지 只見讀書榮
책 읽어 실패하는 건 보지 못했네 不見讀書墜
책을 잃으면, 삶을 풍요롭게 하는 비밀도 잃을 것
책을 다소 공리적으로 평가한 느낌이 있긴 하지만, 그것을 읽음으로써 “부유해지고 귀해지며 현명해지고 이로워지는” 책을 사람들은 왜 멀리하는 것일까?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책의 죽음을 부채질하는 가장 강력한 도전자는 인터넷이 아닐까? 사람들은 인터넷이 책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터넷은 단편적인 지식을 사냥하는 데에는 더없이 좋은 도구이지만 그곳은 지혜는 없고 지식만 가득한 공간이다. 또한 서점에서 향기를 풍기며 은근한 눈짓을 던지는 종이책의 다정함이 인터넷에는 없다. 인터넷을 통하여 과연 우리는 “과거의 가장 뛰어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눌 수” 있겠는가?
지난 연말의 치열했던 대통령 선거 때 어느 후보도 독서의 중요성을 말하지 않았고, 죽어가는 서점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지 않았다. 서점은 살아 있어야 한다. 서점은 우리 마음의 고향 같은 곳이다. 서점이 존재한다는 자체만으로도 우리는 정신적 풍요를 느낄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한 가지 제안을 하고 싶다. 시내버스에 국고보조금을 지급하듯이 서점에도 일정액의 국고보조금을 지급하라는 것이다. 또 하나 국제 슬로우시티 본부에, 반드시 종이책을 파는 서점이 있어야 할 것을 지정 요건에 추가하기를 제안한다. 서점이야말로 ‘느리지만 멋진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최적의 요건이 아니겠는가.
나이따라 바뀌는 스마트폰 쓰임새 (0) | 2013.03.31 |
---|---|
예능 프로그램 대세 ‘부성애 코드’에 숨겨진 비밀? (0) | 2013.03.04 |
이승만 대통령의 진실 (0) | 2012.12.04 |
역사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0) | 2012.12.04 |
‘스마트폰 세대’가 사는 법 (0) | 2012.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