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초등 교과서에 한자 병기가 필요 없는 이유

한글사랑---------/우리말바루기

by 자청비 2015. 4. 28. 18:26

본문

초등 교과서에 한자 병기가 필요 없는 이유

 

경향신문 2015/4/27


 

전국의 모든 교육감이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에 반대한다는 뜻을 한 입으로 밝혔지만, 교육부에서는 여론을 무시한 채 강행하려나 보다. 이게 왜 헛일이자 뒷걸음질인지 열 가지만 까닭을 추려보겠다.

 

첫째, 중·고교 교과서에는 한자를 병기할 수 있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자가 점차 사라져 이제는 찾을 수 없다. 정부가 강제한 게 아니라 교과서 집필진들이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일어난 일이다. 신문에서 한자가 사라진 것과 같은 현상이며, 시대의 큰 흐름이다. 대한민국의 문자 생활은 한자가 사라진 뒤 더욱 발전하였고, 초등 교육도 마찬가지다.

 

둘째, 국어사전에 나오는 낱말 가운데 한자어가 57%를 차지한다지만, 사전은 원래 낱말을 보관하고 찾아볼 요량으로 만든 것이니 쓰지도 않는 한자어가 수두룩하게 올라 있다는 게 병기의 근거일 수 없다. 평소에 쓰는 한자어는 우리가 ‘커피’를 coffee라고 적지 않아도 뜻을 아는 것처럼 한글로만 적어도 뜻을 알 수 있는 우리말이 되었다.

 

셋째, 한자 병기는 책 읽기를 방해하는 함정일 뿐이다. 한자를 읽을 줄 알아야 뜻을 알 수 있다고 믿는 아이들은 문장 전체를 읽기보다는 한자 함정에 빠져 바깥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한자를 모르는 아이들은 병기된 한자 함정 때문에 우물쭈물하다가 읽기의 맥이 끊긴다. 알면 아는 대로 모르면 모르는 대로 위험한 게 바로 한자 함정이다. 이 한자 함정에서 벗어났기에 우리나라의 15세 청소년들이 국제학업성취도평가 문해력 부문에서 최상위에 오른 것이다.

 

넷째, 고유어든 한자어든 낱말의 속성과 쓰임새를 맥락 속에서 풍부하게 알려주는 교육이 중요하지 그 시간을 병기된 한자 암기로 허비할 까닭이 없다. 더구나 낱낱의 한자 뜻과 그 한자로 이루어진 낱말의 뜻이 잘 어울리지 않는 경우도 숱하다. ‘방송’ ‘회사’ ‘주식’ ‘민주주의’ ‘선생’ ‘제자’ ‘함수’와 같은 말의 한자를 찾아보면 그 뜻의 조합이 우리가 머릿속에 그리고 있는 말과 얼마나 다른지 쉽게 알 수 있다.

 

다섯째, 추상적인 개념을 구성하는 한자들은 낱자의 뜻도 추상적이거나 한자어인 경우가 많아 이를 가지고 뜻을 풀이해도 여전히 추상적이거나 동어반복에 그치기 쉽다. 재물은 재물 재(財)에 물건 물(物)인데, 두 글자의 뜻도 추상적인 한자어의 동어반복일 뿐이다. 이런 한자를 병기한다 하여 낱말의 뜻이 살아나겠는가?

 

여섯째, ‘부모’나 ‘학교’처럼 낯익은 한자어는 그 말뜻을 이해하는 데에 한자 병기가 전혀 필요하지 않고, 반면 ‘파충류’와 같은 전문용어들은 그 말을 이루는 한자도 자주 볼 수 없는 한자라 병기해도 도움이 안 된다. 대부분의 말은 병기하지 않아도 알 수 있고, 어려운 말은 한자도 어려우니 병기해도 소용이 없다. 말로 풀어줘도 충분히 알 수 있는 걸 병기하여 어려움만 키우는 꼴이다.

 

일곱째, 한자를 아는 아이와 모르는 아이 사이에 한자를 둘러싸고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기 시작하면 수업 운영이 어려워진다. 초등학교에서는 지식을 정교하게 심어주기보다는 공부하는 힘과 창의적인 태도를 길러주고 민주시민의 인성을 만들어가는 데에 힘써야 하는바, 한자 병기는 모든 과목에서 이걸 방해한다.

 

여덟째, 고유어든 한자어든 동음어는 맥락 속에서 그 뜻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워야 하지만, 한자 병기는 그런 능력을 약하게 만든다. 수학의 ‘분자’와 과학의 ‘분자’는 같은 한자를 사용하지만, 결코 같은 뜻이 아니다.

 

아홉째, 하나의 한자에는 뜻이 한 가지인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최소 두어 개에서 열 개 넘는 경우가 많다. 하늘 천(天)에는 10가지, 아비 부(父)에는 6가지의 뜻이 있으니, 이런 뜻 가운데 무엇과 무엇이 조합되었는가를 외우는 일은 암기할 거리만 늘리는 무모한 짓이다.

 

마지막으로, 한자가 병기된 교과서로 공부하려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입학 때부터 한자를 익혀야 한다고 생각할 테니, 사교육과 선행학습이 번성한다.

 

<이건범 | 작가·한글문화연대 대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100&artid=20150427212346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