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심해서 낸 문제 350년간 수학자들 괴롭혀
2012.05.02 by 자청비
팥죽 한 그릇에도 과학이 숨어있다!
2011.12.14 by 자청비
별 삼키는 블랙홀 사상 첫 관찰
2011.08.25 by 자청비
[자연의신비]매미의 허물벗기
2011.08.02 by 자청비
인간의 ‘날씨 조절’ 도전 50년
2011.06.29 by 자청비
142,857
2011.06.20 by 자청비
혈액형 이야기
2011.04.26 by 자청비
벼룩점프의 비밀
2011.02.22 by 자청비
심심해서 낸 문제 350년간 수학자들 괴롭혀 ‘3차 이상의 제곱수를 같은 차수의 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것은 불가능하다(Zn≠Xn+Yn).’(n=1, 2인 경우는 성립) 초등학교 산수 외에는 수학을 배운 적이 없는 프랑스 툴루즈 지방법원의 법관이었던 피에르 드 페르마(1601∼1665). 그가 17세기에 ..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2. 5. 2. 18:26
팥죽 한 그릇에도 과학이 숨어있다! 동지(冬至)가 다가오고 있다. 동지는 글자 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이렇듯 동지를 기점으로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풍속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의미 있는 날..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12. 14. 09:45
별 삼키는 블랙홀 사상 첫 관찰…국내연구진 참여 헤럴드생생뉴스 태양보다 약 1000만배 무거운 '거대 블랙홀'이 별을 빨아들일 때 강력한 광선을 분출하는 장면이 역사상 처음 관찰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임명신 서울대 교수가 이끄는 초기우주천체연구단 5명, 전영범ㆍ성현일 박사 등 7명의 한국 연..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8. 25. 08:45
[자연의신비]매미의 허물벗기 (AP/Times Record=연합뉴스) 지난달 31일(현지시각) 미국 아칸소주 포트 스미스에서 매미가 허물을 벗고 있다. <뉴시스>31일 밤 경기 성남시 이매동 운중천 부근에서 매미 애벌레가 허물을 벗고 성충되는 마지막 순간, 흰 날개를 말리고 있다.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8. 2. 11:24
인간의 ‘날씨 조절’ 도전 50년 6월에 온 태풍 ‘메아리’ 미리 막을 수 없었을까 태풍의 눈에 핵폭탄 터뜨린다면 … 중앙일보 태풍은 반갑지 않은 '손님'이다. 뜨거운 한여름에 시원한 바람과 비를 가져다 주지만 도가 지나치다. 삶의 터전을 망가뜨리고 인명까지 빼앗아간다. 5호 태풍 '메아리'도 그..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6. 29. 10:08
숫자 ‘142857’의 비밀? 파이낸셜뉴스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려주는 신비로운 수가 하나 있다. 142857이 바로 그 숫자이다. '베르나르베르베르 소설 신 중에서' 숫자 142857이 '신비한 숫자'로 알려지며 누리꾼들 사이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곱하고 나누는 등 여러가지 연산을 적용해도 다시 원래의 숫자..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6. 20. 16:09
[WHO&WHAT] “B형보다 O형이 더 좋다고? 당신 속았어” ‘최악’ 통념 B형 男기자, 혈액형의 아버지 ‘란트슈타이너’에 따지다 서울신문 4월의 화창한 봄날.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 4층 서울신문사 편집국. 두 젊은 남자 기자의 푸념이 이어졌다. 훤칠한 키에 준수한 외모로 나름 ‘킹카’를 자부하..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4. 26. 11:47
벼룩 점프의 비밀, 44년 만에 풀렸다 자신의 몸길이보다 수십~수백 배 거리를 가볍게 도약하는 벼룩. 자연계 최고의 높이뛰기 선수인 벼룩의 점프 노하우는 그동안 과학계의 미스터리였다. 그 미스터리를 초고속 영상 촬영과 수학 모델이 풀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동물학과 말콤 버로우 교수와 그..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11. 2. 22.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