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로호 실패, 이제 시작이다
2009.08.26 by 자청비
개기일식, 달이 태양을 베어물다
2009.07.22 by 자청비
한국이 과학 노벨상 못받는 이유
2009.05.20 by 자청비
우리 하늘서 펼쳐지는 '별들의 잔치'
2009.01.04 by 자청비
수의 이름·등비수열
2008.12.30 by 자청비
안전거리 구하기
프랙탈-황홀한 눈꽃에 숨어있는 닮은꼴과 순환성
42년전 역사적 달 사진
2008.11.18 by 자청비
나로호가 정상궤도 진입에 실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떠오른 첫 마디가 "첫 술에 배부르랴?"였다. 나로호를 발사함으로서 대한민국은 이제 비로소 우주탐사에 첫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앞으로 이번 나로호 개발의 과정에서 숱하게 나타난 기술적 문제점 뿐 아니라 국가간 협력문제(기술이전 등)까지 포..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9. 8. 26. 11:19
일식은 달이 해를 가리는 현상으로 달의 그림자가 지구에 드리워진다. 반면에 월식은 지구가 해를 가리는 현상으로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드리워진다. 달이 태양을 가려 태양의 전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개기일식이라 하고, 일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을 부분일식이라 한다. 달의 궤도는 태양 주위를 ..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9. 7. 22. 15:55
한국이 과학 노벨상 못받는 이유 [서울신문] 한국에서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 수준의 과학자가 나오지 않는 것은 눈에 보이는 성과를 위해 양적 성장에 치우쳐 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우수 인력이 극소수 대학에 편중돼 대학간 공동연구가 없는 것도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19일..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9. 5. 20. 07:22
<천문의 해..우리하늘서 펼쳐지는 `별들의 잔치'> <연합뉴스> `2009년 세계 천문의 해'를 맞아 올 한 해 우리나라 하늘에서도 `부분 일식', `유성우' 등 다채로운 천문현상들이 펼쳐진다. 4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올 해 대표적인 천문 현상으로는 단연 오는 7월22일 진행되는 `개기 일식'이다. ..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9. 1. 4. 12:45
[생활 속 수학이야기](44) 수의 이름·등비수열 ㆍ플래시몹·은어 속에 숨은 수학적 상황들 <경향신문> 이제 한 해가 다 지나간다. 누구나 한 해가 시작될 때는 희망을 가지고 여러 가지 결심을 하곤 한다. 여러분은 금년에 결심했던 일들을 다 이루었는가? 그랬다면 대단한 사람이다. 아직 다 이루..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12. 30. 10:46
[생활 속 수학이야기] (43) 안전거리 구하기 <경향신문> 버스나 자가용을 타고 가다가 길이 막혀서 멈춰 있게 되면 속상해진다. 주위에 사고가 난 것 같지도 않은데 왜 길이 막힐까? 차가 휙휙 지나가면 아무리 차가 많아도 길이 막힐 것 같지 않다는 생각도 든다. 정말 그럴까? 우선 군인들이 행진하..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12. 30. 10:44
[생활 속 수학이야기] (42)프랙탈-황홀한 눈꽃에 숨어있는 닮은꼴과 순환성 <경향신문> 우리나라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이라는 사계절과 겨울에는 삼한사온이라는 현상이 뚜렷했는데, 요즘은 그런 계절 현상이 많이 변하였다. 10월이 되어도 여름 날씨처럼 덥고, 가을이 오는가 싶더니 며칠이 지나..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12. 30. 10:43
달 너머로 지구 뜨고... 42년전 역사적 달 사진, 초고해상도 버전 공개 1966년 미국의 달 선회 우주선, 루너 오비터 1호가 달 표면 위로 떠오르는 지구의 모습을 처음으로 촬영했다. 이 사진을 NASA가 공개했을 때 세상 사람들이 감탄했던 것은 당연하다. 40여년이 흐른 후 NASA는 1960년대의 역사적 사진들을 ..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11. 18. 2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