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학의 역사
2008.03.08 by 자청비
야구 선수 타율의 모순
캔음료가 원기둥 모양인 이유
60간지 속의 최소공배수
정액제 카드에 숨어있는 비밀
몰라도 관계없는 상식
2008.02.23 by 자청비
과학이란 무엇인가
2008.02.08 by 자청비
우리가 생각치 못한 몸 속의 일들
2008.02.05 by 자청비
[역사속 수학이야기](30) 우리나라 수학의 역사 [경향신문 2007년 08월 07일] 역사 속 수학이야기를 연재한 지도 어느덧 30회에 이른다. 역사 속에서 살펴볼 수 있는 흥미 있는 수학은 아직도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역사 속 수학이야기는 오늘로 끝내고, 다음 주부터는 소설과 동화, 영화, 음악, 미술 등 예..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3. 8. 08:46
[생활 속 수학이야기](4)야구 선수 타율의 모순 [경향신문] 2007년도 우리나라 야구 시즌에서 가장 타율이 높은 선수는 기아의 이현곤 선수이다. 이현곤 선수의 최근 5년 동안의 연도별 야구 실적은 다음 표와 같다. 그런데 이 표에서 타율을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자. 타율은 타석에 들어섰을 때 안타를..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3. 8. 08:32
[생활 속 수학이야기](3)캔음료가 원기둥 모양인 이유 [경향신문] 슈퍼의 음료수 진열장이나 음료수 자판기를 한번 들여다보라. 캔 음료수나 캔 맥주가 원기둥의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각기둥이나 삼각기둥 모양 또는 특이하게 만들기 위해 육각기둥의 모양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만..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3. 8. 08:27
[생활 속 수학이야기](2)60간지 속의 최소공배수 [경향신문]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 연휴가 며칠 전 끝났다. 2007년도 지난해는 은 정해(丁亥)년, 2008년 올해는 무자(戊子)년이라고 하는데, 해가 바뀔 때마다 그 해의 간지는 어떻게 정해지는 것일까? 60간지는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3. 8. 08:24
[생활 속 수학이야기](1)정액제 카드에 숨어있는 비밀 [경향신문] 지난해 연재되었던 역사 속 수학 이야기와 예술 속 수학 이야기에 이어서, 이제부터 생활 속 수학이야기를 시작하기로 하자. 수학은 생활과 떨어져서 고상하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렵든 쉽든 우리 주변에 수학이 도처에 널려 있다. ..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3. 8. 08:16
잡학, 과학 ★ 85db이 넘는 소리는 청각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 아기가 욕구 불만으로 우는 소리는 100db이다. 그 외에 자동차 경적 소리(120dB), 자명종 소리(80dB)도 해롭다. ★ 전화가 필요 없는 지역…북극이나 남극지방에서는 1.6㎞정도 떨어진 지역에서도 전화가 아닌 육성으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2. 23. 23:49
과학은 물질적 번영을 위한 도구일 뿐인가? [최무영의 과학이야기 <1>] 과학이란 무엇인가 <상> 프레시안 연재를 시작하며 현대사회에서 자연과학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습니다. 자연과학은 인간 자신을 포함한 전체 우주를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신비로운" 자연 현상의 이해를 추..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2. 8. 20:34
우리가 모르는 신기한 일들 *피가 몸을 완전히 한바퀴 도는 데에는 46초가 걸린다. *눈을 한번 깜빡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1/40초이다. *혀에 침이 묻어 있지 않으면 절대로 맛을 알수없고 코에 물기가 없으면 냄새를 맡을 수 없다. *갓난아기는 305개의 뼈를 갖고 태어나는데 커 가면서 여러 개가 합쳐져서..
또다른공간-------/생활속의과학 2008. 2. 5. 2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