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톡톡] ‘악플러, 떡밥글, 낚시글, 된장녀, 개똥녀, 완소남, 쩍벌남, 펌, 폰카, 갈비, 자출, 프리 허그, 이태백, 오륙도, 국회스럽다, 검사스럽다….’
국립국어원이 8일 발간한 책 ‘사전에도 없는 신조어’에 실린 단어들이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우리 사회에서 새로 만들어져 인터넷 공간이나 실생활에서 유행처럼 쓰인 표현 1330여개가 담겼다. 국립국어원 측은 “신조어는 사회상을 반영하는 거울이기 때문에 신조어를 보면 최근 우리 사회에서 주요 관심사가 무엇이었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낚시, 악플, 된장녀, 펌’ 등 인터넷 신조어
지난 5년간의 대표적인 인터넷 신조어로는 ‘떡밥글, 낚시글, 악플러, 된장녀, 펌’ 등이 꼽혔다. 낚시글은 게시물 제목과 본 내용이 판이하게 다르거나, 사실을 실제보다 부풀려 네티즌들을 현혹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런 네티즌들을 미끼에 쉽게 낚이는 물고기에 비유한 셈이다. 떡밥글 역시 이런 떡밥을 덥석덥석 무는 네티즌들을 비하하는 말이다.
악플러는 ‘악성 리플’의 줄임말인 악플과 사람을 나타내는 영어식 접미사인 ‘러(-er)’를 혼합한 말이다. 유명인이나 특정 네티즌들을 근거없이 비방하거나 모욕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된장녀는 여성을 ‘X인지 된장인지 구분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비하하는 말로 인터넷 상에서 자주 쓰인다. 외모와 학벌 등을 무기로 남자에게 의존해 명품 선물을 받고 고급 레스토랑과 커피 전문점이나 들락거린다는 비아냥이 담겨 있다. 펌은 ‘퍼온다’를 명사형태로 축약한 단어로 특정 게시물을 다른 사이트로 가져오는 행위를 말한다.
◇ 불경기·정치 풍자 용어 많아
불경기로 인해 청년 실업 문제가 장기화되고 구조조정 등의 고용불안이 커지면서 관련 신조어들도 많아졌다. ‘오륙도, 사오정, 삼팔선, 이태백, 오륙도’ 등이 대표적이다.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직장인들의 퇴출 나이대가 50대 오륙도에서 40대 사오정을 거쳐 30대 삼팔선까지 낮아졌는 뜻이다. 이태백은 ‘이십대 청년 태반이 놀고 먹는 백수’라고 꼬집는다.
‘검사스럽다, 국회스럽다, 건달정부’ 등 정치 상황을 빗댄 풍자성 신조어들도 있었다. 특히 검사스럽다는 2003년 3월9일 ‘노무현 대통령과 평검사와의 대화’가 낳은 최고의 유행어였다. 검사들은 최고 권력자인 대통령을 대할 때도 특유의 무례함을 내세운다는 조롱이 담겼다.
또 2002년에는 ‘월드컵 증후군, 히딩크 스코어’ 등의 월드컵 관련 신조어도 만들어졌다. 새로 생겨난 직업(제사 도우미, 독서 치료사, 체형관리사)이나 문화 현상(프리 허그, 로또 복권, 명품계 등)을 지칭하는 말들도 있엇다.
◇ 기존단어 변형하고, 줄이고, 뒤틀고
신조어는 기존 단어들을 축소하거나 합성하는 방식으로 흔히 만들어진다. 경제력을 갖춘 30대 이상의 미혼여성을 뜻하는 ‘골드 미스(올드 미스)’, 애완견을 돌봐주는 사람인 ‘도그 시터(베이비 시터)’, 재테크 감각이 부족한 ‘돈맹(문맹)’ 등이 유추를 통해 만들어진 말들이다.
구를 줄여 만들어진 신조어에는 ‘갈비(갈수록 비호감)’, ‘즐감(즐거운 감상)’, ‘완소남(완전 소중한 남자)’ 등이 있다. 단어의 형태를 변형시켜 만든 말에는 ‘노래’와 ‘호텔’이 합쳐져 만들어진 ‘노래텔’, ‘레저’와 ‘바캉스’가 합쳐진 ‘레캉스’ 등이 있다. 사이버 상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를 지칭하는 ‘사이처’도 ‘사이버’와 ‘티처’가 합쳐 만들어졌다.
기존말의 상대어로 만들어진 신조어도 있다. ‘꽃미남’의 상대어인 ‘꽃미녀’, ‘맞벌이’는 ‘외벌이’, ‘웰빙’은 ‘일빙, 배드빙’으로 변형됐다.
◇ -족, -증후군, -남/-녀, -데이,-파라치 유행
기존 단어에 ‘-족’, ‘증후군’, ‘-남/-녀’ 등을 붙인 신조어 역시 많았다. 영어 접미사인 ‘이즘(-ism)’이나 이스트(-ist), 영어 단어 '데이(day)', 일본어 와리깡(わりかん)으로부터 나온 ‘깡’도 일정한 의미를 가진 우리말로 재탄생했다.
‘-족’은 ‘어떤 일을 즐겨 하거나, 또는 그 일을 특징으로 하는 사람들’을 뜻한다. ‘환승족’, ‘명품족’, ‘멀티잡스족’ 등의 관련 신조어 190개가 태어났다.
‘증후군’은 ‘어떤 자극에 대해 정상 범위를 지나친 반응’을 뜻한다. 기존에는 ‘새집 증후군’이나 ‘급성 호흡기 증후군’ 등 직접 병증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됐으나 최근에는 ‘휴대 전화 중독 증후군’, ‘동창회 증후군’ 등 사회의 특정 현상을 병증에 빗댄 표현에 등장했다.
‘-남/-녀’는 각각 접두사가 뜻하는 특성을 가진 남성이나 여성을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된장녀, 개똥녀, 느끼남, 짝벌남’, ’ 등 특정인이나 특정 행동을 비하할 때 주로 쓰였다.
‘일정한 주제를 가진 주장’을 뜻하는 신조어는 영어 접미사 ‘-이즘(ism)’을 합쳐 만들었다. 한국인들이 스스로 우월하다고 믿는 생각을 비꼬는 ‘우리나라리즘’, 성(性)의 구별을 없애자는 주장인 ‘디젠더리즘’ 등이 대표적이다. 모든 성차별과 억압에 대항하는 여성을 이르는 ‘우머니스트’, 만사를 귀찮아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귀차니스트’에는 영어 접미사 ‘-이스트(ist)’가 쓰여 ‘어떤 주장을 기조로 행동하는 사람’을 뜻하게 됐다.
‘데이(day)’가 쓰인 신조어에는 ‘구구데이(9월9일, 닭고기 소비 촉진을 위해 농림부가 제정한 말)’, ‘천사데이(10월4일, 어려운 이웃들에게 사랑과 희망을 전해주는 날’, ‘육아데이(매월 6일, 어린 자녀를 가진 직장인들이 정시에 퇴근하는 날)’ 등이 있다.
‘유명인의 사생활을 사진으로 찍어 돈을 받고 언론에 공개하는 사람’이라는 뜻인 이탈리아어 ‘파파라치(paparazzi)’로부터 나온 ‘-파라치’는 ‘불법 행위를 신고하여 보상금을 타내는 일이나 그런 일을 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탈바꿈했다. 담배꽁초를 길에 버리는 장면을 몰래 촬영해 신고하는 ‘담파라치’, 성인 게임방의 불법 행위를 신고하는 ‘겜파라치’ 등 39개의 신조어가 나타났다.
‘추렴하다’라는 뜻의 일본어 ‘와리깡’의 ‘-깡’도 우리말과 합쳐져 ‘현물 거래 없이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카드 결제 처리’를 뜻하는 말로 변형됐다. ‘쌀깡’, ‘골드깡’, ‘게임머니깡’ 등이 그 예다.
◇ ‘표준어 자격 없는 신조어’ 국어대사전에 실릴 가능성은?
이 신조어들이 국어대사전에 실릴 가능성은 아직 낮다는 게 국립국어원 관계자들의 대체적인 반응이었다. 신조어들이 사회상을 반영하며 널리 쓰이긴 하지만 비어 속어 은어적 특성이 많기 때문에 표준어 자격을 얻기 힘들다는 이유에서다. 외래어인 네티즌을 뜻하는 우리말 ‘누리꾼’도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포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
신조어가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리려면 ▲우리말 조어법에 맞아야하고 ▲외래어가 아닌 고유어로 구성돼야 하며 ▲ 여러 세대에 걸쳐 수년 간 사회에서 통용되는 단어로 정착돼야 한다는게 국립국어원 측의 설명이었다. 이번에 나온 신조어집 역시 지난 5년간 국립국어원이 매년 발간해오던 신조어 보고서를 책 형태로 한데 모은 것이지 표준어를 소개하는 국어사전 형식은 아니다.
국립국어원 한 관계자는 “원론적으로 국어심의회를 통해 표준어 지휘를 줄만한 가치가 있는 신조어가 내년 국어대사전 개정·보완때 실릴 수도 있다”면서도 “현재로서는 그 가능성에 대한 언급이 적철지 못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