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뉴미디어 통신공동연구소가 얼마 전 가야금에 대해 실험을 했습니다. 울림통 위에 가루를 뿌린 뒤 주파수를 달리해 진동을 가하는 ‘클라드니 도형’ 실험입니다. 그 결과, 현에서 생기는 주파수인 100헤르츠에서는 울림통이 떨렸지만 현이 만들지 않는 주파수인 80헤르츠에서는 울림통이 꼼짝도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현이 떨릴 때 울림통도 같이 떨려야 한다는 '고운 소리의 비결'을 눈으로 입증한 것이지요.
그뿐이 아닙니다. 가야금과 거문고의 울림통 재료로 쓰는 오동나무의 상피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세포의 벽이 얇고 유연하며, 비중도 0.35에 불과합니다. 이에 비해 바이올린의 재료인 가문비나무는 규칙적이며 촘촘한 세포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그 때문에 우리의 현악기는 바이올린에 비해 음색이 부드럽다고 합니다. 가야금에도 우리 겨레의 과학이 숨어 있었습니다.
==============================================================================
(지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가운데서 골라 본 글)
520. 일만 이천 봉이 태극으로 승화한 금강전도 (2005/12/01)
금강산의 봉우리는 일만 이천 개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 많은 봉우리를 한 장의 그림에 다 담아낼 수가 있을까요? 그런데 조선 후기의 화가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은 ‘금강전도’에서 이를 실현했습니다. 겸재는 우리나라의 산천을 독자적 화법으로 그려내어 진경산수화풍을 확립시킨 동시에 진경산수화의 발달에 지대한 공로를 남겼는데 특히 평생 여러 차례 금강산 일대를 유람하였고, 100여 폭에 이르는 금강산 그림을 그렸다고 합니다.
“‘금강전도’를 보면 한가운데 만폭동 계곡을 중심으로 하여 장경봉에서 비로봉까지 남북으로 길게 S자로 휘어진 선은 영락없는 태극을 그린 것이다. 태극은 무한한 공간과 영원한 시간을 뜻하는 동시에 혼돈에서 질서로 가는 첫걸음을 뜻한다. 금강산이 우주의 원리인 태극으로 승화한 것이다.” 사계절출판사에서 펴낸 책 ‘한국생활사박물관’ 9권에 나오는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