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천재소년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by 자청비 2008. 10. 16. 22:17

본문

[피플]천재소년 김웅용 그 이후
경향신문 2005년 11월 21일
#‘실패한 천재’라니…

“저는 결코 실패하지 않았고 열심히 연구하며 행복하게 살고 있습니다. 무슨 연유로 언론에서는 저를 ‘실패한 천재’라고 하나요.”

1960년대 우리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천재소년’ 김웅용씨(42)는 기자를 만나자마자 이런 하소연을 쏟아냈다. 특히 언론에 강한 불신과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최근에 또 한번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고 했다. 다름 아닌 8살 나이에 인하대에 입학한 송유근군을 언론이 보도하면서 김씨를 다시 언급했던 것.

김씨는 왜 자신이 실패한 천재냐고 반문한다. 그는 자신이 실패한 인생을 살지도 않았고 지금은 자신이 추구하는 길을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공학박사에 기술사이면서 국토환경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생업에 종사하고 있다. 또 연세대와 충북대 등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치수와 수리학 분야에서 90여편의 논문을 국내외 저널에 발표하는 등 학문적 연구도 활발하다. 이러한 연구로 저명한 학자들이 오를 수 있는 국제인명사전 ‘후즈 후(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2006년판에도 등재될 예정이다. 그런데 왜 언론이나 사회에서는 툭하면 자신을 ‘실패한 천재’라는 낙인을 붙이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김웅용씨는 그 누구보다 천재소년의 길을 걸었고, 지금은 수리학 분야에서 자신의 재능을 발휘하고 있다. 다만 어린 시절 목표도 없이 이끌려 떠났던 미국 생활을 접고 처음부터 자신의 목표를 다시 세워 자신의 길을 가고 있을 뿐이다. 오히려 우리 사회의 고질적인 선입견이 천재의 앞길을 막고 그가 가는 길을 방해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김박사는 “교수를 뽑는다고 해서 이력서를 내고 면접을 하면 과거의 ‘천재소년’이라는 이유로 기피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면서 “이제는 교수가 되려는 계획을 포기하고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잃어버린 10대, 불행했던 시절

8살에 시작된 미국 유학, 남들은 부러워했지만 어린 나이에 홀로 된다는 것은 외로움을 넘어 두려움이었다. 매일 쳇바퀴처럼 꽉 짜여진 일정 속에서 연구소와 대학원 공부를 해야만 했다. 당초 미국 유학은 자신이 어떤 목표를 세우고 시작한 것이 아니라 나사(NASA)측의 초청 계획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었다. 주어진 연구과제…. 김박사는 “나사 연구실에서 일하면서 ‘내가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 회의감이 수없이 몰려왔다”면서 “목표도 없이 나사측이 주는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지옥같은 나날의 연속이었다”고 회고했다. 당시에는 컴퓨터 이용의 초기 단계여서 그가 하는 일은 결국 컴퓨터가 하는 일을 대신했던 것. 나사측에서는 ‘계산과 예측’에서 천재성을 발휘하는 그의 재능이 필요했던 것이다. 결국 그가 택할 수 있는 방법은 ‘목적’없이 이루어진 미국에서의 ‘특권’을 포기하고 그냥 귀국하는 길밖에 없었다.

그에게 보통아이들이 누리는 개구쟁이 시절의 10대는 없었다. ‘박제된 생활’속의 천재. 그는 결코 행복하지 않았다. 한국에 돌아와서도 모든 것을 새로 시작해야 했다.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졸업장이 없었기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다시 다녀야 했던 것. 미국에서의 물리학 박사학위과정 수료도, 나사에서의 선임연구원 근무도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졸업장이 없으니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것. 김박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위해 검정고시를 봐야 했다.

한양중학교에 다니던 세살때의 모습.


#뒤늦게 찾은 보통사람의 행복

김박사는 미국에서 귀국한 78년을 기점으로 전혀 다른 두 인생을 살았다. 전공도 물리학에서 토목공학으로 바꾸었다. 또 서울에서 공부할 수 있었지만 지방대를 택했다. 그것은 어쩌면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사회에 대한 항의’의 표시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당시 저는 아무런 연고가 없는 지방대에서 다시 도전해보고 싶었습니다. 언론에서는 ‘천재소년이 지방대에 들어갔다’는 식으로 보도를 했어요. 지방대가 뭐 어떻습니까.”

그에게는 ‘간판’보다는 친구가 필요했고 보통사람들의 대인관계가 절실했다. 처음으로 제대로 맛본 대학생활은 그에게 숨통을 터주었다. 그는 어릴 적 누리지 못했던 친구들과의 관계를 찾기 위해 동아리란 동아리엔 모두 가입했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갈등과 우정, 그에게는 그 모든 것이 눈물겹게 다가왔다.

영재는 ‘특별한 관심’을 준다고 해서 천재적 재능을 발휘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사회적으로 영재나 천재에 대해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이들이 천재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더 필요하다. 김박사는 “천재나 영재에 대해 ‘원숭이’ 취급을 해서는 안된다”면서 “자신들의 잣대로 한 인간을 평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누구나 인생은 고독하다지만, ‘천재소년’ 김웅용씨가 살아온 지난 40여년간의 삶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고독한 삶이었다. 이제라도 그를 향한 지나친 관심과 막연한 편견을 거두고 자유롭게 살아갈 수 있게 해줘야 하지 않을까.

▶김웅용이 걸어온 길
6살때 일본 후지TV에 출연해 수학문제를 풀고 있는 김웅용.


김웅용 박사는 서울에서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인 김수선씨와 이화여대 의대교수인 류명현씨 사이에서 4남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응석받이로 지낼 나이인 5살때 이미 4개 국어를 구사하고, 6살때에는 일본 후지TV에 출연해 미적분을 풀어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IQ 210. 그는 1980년판 기네스북에 세계 최고 지능지수 보유자로 올랐다.

4살부터 7살때까지 청강생으로 한양대에서 물리학 공부를 했다. 그리고 8살때인 1970년 미국 우주항공국(NASA)의 초청으로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콜로라도주립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과정을 수료했다. 또 대학원에 다니면서 74년부터 5년동안 나사 선임연구원으로 일했다.

그에게는 응석을 부려야 하는 어린 시절도, 한창 또래 아이들과 뛰어놀아야 하는 초등학교 시절도 없었다. 16살때인 78년 그는 8년여의 미국생활을 접고 나사측에 아무런 통보도 하지 않은 채 돌연 귀국길에 올랐다. 김박사는 당시를 회상하면서 “그곳에서 계속 연구원으로 일했다면 아마도 자신은 자살을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린 시절 함께 놀 친구 한명 없었던 그에게 미국 생활은 지옥과도 같았던 것이다.

살아오면서 언제 가장 행복했느냐는 말에 그는 “결혼도 하고 아들 둘을 두고 있는데, 요즘이야말로 행복하고 안정된 일상속에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천재소년’ 김웅용씨,세계 3대 인명사전에 올라
[쿠키뉴스 2006-09-07]
1960년대 천재소년으로 이름을 떨쳤으나 70년대 후반 실패한 천재로 입방에 오르던 김웅용(42·공학박사)씨가 올해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3대 인명사전에 등재돼 명실상부한 세계의 지성으로 인정받게 됐다.

올해 미국 마르퀴스 세계 인명사전 23판과 영국 케임브리지 국제인명센터(IBC)가 선정하는 ‘21세기 우수 과학자 2000’에 잇따라 올랐던 김씨는 최근 미국 ABI(미국인명연구소)의 ‘21세기 위대한 지성’에도 뽑혔다.

또 영국 국제인명센터(IBC)의 토목 및 환경공학분야의 ‘올해의 국제교육자’로 선정됐으며,이 센터 종신 부이사장으로 선임돼 아시아를 대표하게 됐다. 이 단체는 올 11월 김씨에게 국제 공로훈장도 수여할 예정이다.

그는 5세 때 4개 국어를 구사하고,6세 때 일본 후지TV에 출연해 미적분을 풀었으며,아이큐 210으로 1980년판 기네스북에 세계 최고 지능지수 보유자로 오르기도 했다. 8세 때인 1970년 미국 우주항공국(NASA)의 초청으로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 과정을 수료하면서 1974년부터 5년간 나사 선임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러나 1978년 돌연 귀국,1981년 충북대에 입학하자 호사가들은 실패한 천재라고 입방아에 올렸으나 그는 결코 실패한 것이 아니었다.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또래도,친구도 없이 미 항공우주국이 주는 과제를 수행하는 쳇바퀴 같은 ‘박제 인생’에 질려 돌아왔을 뿐이었다. ‘천재 소년’에서 인간다운 삶을 사는 보통사람으로 돌아가고 싶어 지방대를 택한 것이 ‘실패한 천재’로 비쳐졌을 뿐이었다.

대학에서 토목공학으로 전공을 바꾼 그는 박사 학위를 받은 뒤 국토환경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일하면서 연세대와 충북대에서 강의했다. 또 국내외 저널에 치수와 수리학 분야 논문 90여편을 게재해 올들어 세계적 권위의 3대 인명사전에 오르게 됐다.

올초 설립된 충북개발공사에 입사해 보상팀장으로 일하고 있는 그는 자신을 별난 존재로 봐주지 않는 인간적인 동료들과 함께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어 만족스럽다고 했다.

그는 “천재 소년이라는 딱지 때문에 너무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왔다”며 “평범하게 살면서 다른 사람들처럼 순수하게 학문적,업무적으로만 평가받고 싶다”고 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