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야 벼를 거둘 때 트랙터가 다 해내지만, 예전엔 사람이 일일이 낫으로 베어 “홀태”라는 기구로 훑어서 벼 알갱이를 털었습니다. “홀태”는 길고 두툼한 나무 앞뒤 쪽에 네 개의 다리를 달아 팔자(八字)모양으로 떠받치게 하고 빗살처럼 날이 촘촘한 쇠로 된 틀을 몸에 낀 형태로 되어 있지요. 이 빗살처럼 촘촘한 쇠틀 사이로 벼를 끼우고 잡아당겨 벼 낱알을 텁니다. 그런데 “홀태”는 사투리로 표준말은 “벼훑이”라고 하며, 다른 이름으로 그네, 첨치, 천치(千齒)도 있습니다. |
|
|
|
|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꽹과리 (0) | 2009.10.14 |
---|---|
캐년설계도 (0) | 2009.10.13 |
황금을 물에 던진 통신부사 김세렴 (0) | 2009.10.08 |
누룩으로 빚는 우리 전통 술, 중국과 일본 사서에 기록되다 (0) | 2009.10.07 |
사대주의에 빠져 성묘를 거부한 사대부 (0) | 200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