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현장을 가다]
수난의 낙동강 상류
<경향신문>
4대강 사업이 본격화하면서 한강·금강·영산강·낙동강 유역이 파헤쳐지고 있다. 보 설치와 준설공사로 강물은 흙탕물로 변하고 있으며 강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침전물들은 성분 분석도 제대로 되지 않은 채 강물과 뒤섞여 상수원으로 공급되고 있다. 물고기와 철새들이 노닐던 보금자리가 사라지는 등 생태계 파괴도 심각하다. 경향신문은 국내 토목·하천·환경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전국의 4대강 공사 현장을 둘러보면서 어떤 문제점들이 제기되는지 기획 취재했다. 4대강변 일대에서 생계를 잇고 있는 농민들과 인근 지역 주민들의 우려와 한숨 소리도 기사로 담았다. (편집자주)
공사판 된 명승지
낙동강 제1경으로 불려온 경북 상주시 사벌면 낙동강변 경천대 일대에서 2일 포클레인들이 강바닥을 파헤치는 공사를 벌이고 있다.
"생각보다 훨씬 심각하네요. 강을 살리는 게 아니라 죽이고 있어요."(류승원 영남자연생태보존회장)
2일 경북 상주시 사벌면 삼덕리 경천대(擎天臺). 낙동강 1300리 물길 중 경치가 가장 아름다워 '낙동강 제1경'으로 꼽히는 곳이다. 절벽 아래로 굽이굽이 흐르는 강줄기, 비단결 같은 은빛 모래사장, 깎아지른 암벽에 뿌리를 내린 낙락장송…. 하지만 이 낙동강 제1경은 내년쯤이면 제 모습을 잃게 된다. 상주보 건설로 모래사장은 준설되고 제방이 들어서기 때문이다.
하류를 따라 가면 상주시 중동면 오상리 상주보 건설현장이다. 보 건설구간에서는 거대한 가물막이를 두른 채 기반시설공사가 한창이다. 착암기의 해머드릴이 연방 '드르륵' 소리를 내며 암반을 쪼개고 있다. 강물은 뿌연 거품을 머금은 채 흘러내리고 있다.
"강바닥 암반을 깨면서 나오는 미세한 돌가루가 오탁방지막을 빠져나와 둥둥 떠내려 가는 거죠. 강바닥이 훤히 비칠 정도로 깨끗한 물이었는데…. 강변 버드나무 숲도 포클레인에 밀려 사라졌어요."(이국진 '강과 습지를 사랑하는 상주사람들' 사무국장)
20년째 곶감을 재배하는 주민 김동철씨(57)는 "보가 들어서 안개가 자주 끼면 곶감 말리기가 여의치 않아 상주곶감의 명성이 떨어질까 걱정"이라고 불만을 터뜨린다.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 구미보 건설현장. 이곳도 강물은 여지없이 생채기가 나 있다. 오후 7시가 지나 어둠이 깔리는데도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강에서 파낸 거대한 모래더미가 녹색그물망을 덮어쓴 채 볼썽사납게 강변에 널브러져 있다. 배문용 낙동강공동체 사무총장은 "국회의원들, 싸움질 집어치우고 현장을 한 번이라도 둘러보라"고 소리친다.
구미보에서 구미 해평습지로 향하는 길. 동행한 류승원 회장이 흥분을 감추지 못한다.
"낙동강 8개 보의 평균 높이는 11~12m, 수심은 6m나 됩니다. 이 정도 규모면 보마다 인공댐이 하나씩 생기는 꼴입니다. 굳이 보를 조성하지 않더라도 강변습지 조성, 집수역 관리 등으로 수질도 개선하고 홍수도 막을 수 있는데…."
구미보에서 14㎞ 하류로 내려오니 해평 철새도래지가 눈 앞에 펼쳐진다. 해마다 겨울이면 흑두루미(천연기념물 제203호) 같은 철새 수천마리가 찾아와 진풍경을 연출하는 곳이다.
"이곳도 상·하류에 보가 들어서고 바닥이 준설되면 제 모습을 잃게 됩니다. 철새도 외면하게 될 겁니다. 4대강 사업 때문에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소중한 자연유산이 사라지게 되는 거죠."(류 회장)
하류로 내려올수록 강물은 제 빛깔을 잃어간다. 대구 달성에 이르자 육안으로도 구분이 될 정도다. 탁해진 강물…. 절로 미간을 찌푸리게 된다. 오염물질이 포함된 대규모 진흙(오니)층이 발견된 달성보 건설현장에 섰다. 현장 아래에는 2~3중의 오염방지막이 설치돼 있다. 그러나 그 아래 쪽으로는 여전히 뿌연 부유물이 떠내려 가고 있다. 이 지역도 강허리는 여지없이 잘린 채 철심을 박은 콘크리트 바닥 주변에서 인부들이 망치질을 하고 있다.
"(공사장) 저기 보세요. 인부들이 몇 명이나 됩니까. 중장비들이 공사를 할 뿐 인부는 10여명도 안되잖아요."
공정옥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4대강 사업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건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주장한다. 공사관계자들은 취재기자와 동행한 전문가들의 접근을 막으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인다.
4대강 사업으로 조선시대 사원건축의 백미로 꼽히는 도동서원(대구 달성군 사적 제488호) 이미지도 흐려질 것이다. 서원 상·하류에 보가 들어서면 주변 모래사장은 사라지고 인근 강물도 오염될 게 뻔하기 때문이다. 류 회장은 "낙동강사업이 속도를 내면서 전 구간의 생태계가 신음하고 있다"면서 "도대체 누구를 위한 사업인지 모르겠다"며 한숨을 내쉰다.
"4대강 퇴적오니토서 발암물질 디클로로메탄 검출"
[아시아경제]
4대강 공사를 실시하고 있는 낙동강 함안보의 퇴적오니토 성분분석 결과 다량의 발암물질과 중금속이 검출돼 논란이 예상된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와 4대강 사업저지 특별위원회는 지난 1월31일 현장을 방문, 퇴적오니토를 채취해 동의대 시료 분석센터와 부산 가톨릭대에 분석을 의뢰한 바 있다.
정 대표는 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분석결과를 공개하면서 "절대 이대로 그냥 준설을 해선 안 되고 정밀 검사를 해야 한다"며 "즉각 중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4대강 저지특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함안보 퇴적오니토에서 발암물질인 디클로로메탄이 하천·호소기준 20.7배인 0.414㎎/ℓ가 검출됐다. 부유물질(SS) 2127.6㎎/ℓ로 85배, 질산성 질소는 32.07㎎/ℓ로 80배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맹독성 6가 크롬, 시안 등 중금속도 검출됐다. 6가 크롬은 4.67mg/kg, 시안(CN)은 1.72mg/kg로 현행 토양환경보전법 상의 토양오염 우려지역 1기준에 근접한 수치다.
정 대표는 "이런 상태에서 본격적으로 준설을 한다면 국민건강을 크게 위협할 우려가 있다"며 "중금속이나 환경호르몬 등 유해한 물질이 하천변으로 유출되는 것이 불가피한데 그러면 하천 물을 채취해서 사용할 식수의 오염은 누가 책임지는가"라고 질타했다.
그는 "환경영향평가나, 예비타당성조사, 문화재지표조사 등 모든 것을 제대로 하지 않고 날림, 졸속으로 처리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4대강 전체에 16개 보를 설치하기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오염퇴적토가 얼마나 있는지 어떤 위험이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4대강 저지특위 집행위원장인 이석현 의원은 "발암물질인 디클로로메탄은 휘발성이 있는 독성이 강한 액체로 동물의 중추신경계를 저하시킨다"고 우려했다.
이 의원은 "국회와 학계, 환경단체 전문가들이 함께 하는 검증위원회를 국회에 만들어서 이러한 위험성에 대한 처리를 하고 넘어가야 한다"며 "이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그냥 넘어가려는 것은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국민을 천민화하는 개그? (0) | 2010.03.09 |
---|---|
말이 필요치 않은 사진 한장! (0) | 2010.03.08 |
챌린조이 세대 vs 프리타 족 (0) | 2010.02.26 |
무엇이 ‘공룡 서울’을 만드나 (0) | 2010.02.25 |
나랏돈 50억 느닷없는 특혜 ‘수상한 3단체’ (0) | 201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