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여의도 윤중로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by 자청비 2006. 4. 8. 21:05

본문

사무실 앞에 있는 벚나무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네요.
오늘은 벚꽃 이야기를 해 볼게요.

<제가 대충 아는 내용>
1. 벚꽃의 원산지는 일본이 아니라 우리나라와 대만이다.
2. 지금 일본의 벚꽃은 제주도에서 자라난 토종 왕벚꽃을 가져가서 개량한 것이다.
3. 우리나라 꽃이 무궁화라는 것은 대통령령으로 나와있지만, 일본 나라꽃이 벚꽃이라는 것은 일본 법률에 없다.(따라서 아름다운 벚꽃을 보고 일본 나라꽃이라는 이유로 억지로 싫어하거나 미워하실 필요는 없으실듯...^^*)

<제가 확실히 아는 내용>
'윤중로'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뒤편에 있는 둑길입니다. 윤중로(輪中路)는 윤중제(輪中堤)에서 온 말입니다. '제'는 방죽 제(堤) 자 이므로 윤중제는 윤중방죽이라는 말이 되겠죠. 이제 윤중을 알아보죠. 우리나라 국어사전에는 '윤중'이라는 말이 없습니다. 일본사전을 보죠. 輪中은 わじゅう[와쥬우]로 "에도시대 물난리를 막기 위하여 하나 또는 여러 마을이 둑으로 싸여 물막이 협동체를 이룬 것"이라고 나와있군요. 輪中堤를 찾아보니, わじゅうてい[와쥬떼이]로 "강 가운데 있는 섬 주위를 둘러싸게 축조한 제방"이라고 나와있네요.
이렇게 윤중은 우리말이 아닙니다. 일본말입니다. 그걸 가져다 우리는 '윤중'이라고 그냥 읽은 겁니다. 거기에 길을 내 놓고 윤중로(輪中路)라 하고...  제가 알기에, 산에서 내려오는 강어귀에 마을이 있거나 하여 강물이 불면 그 물에 마을이 잠기므로 마을 둘레에 둑을 쌓아 물을 막는데, 그 둑이 바로 '방죽'입니다.
따라서, 여의도 국회의사당 뒤편에 있는 둑길은 '방죽'에 난 '길'입니다. 일본어 찌꺼기인 윤중로가 아니죠.  제가 알기에는, 1986년 서울시가 윤중제를 '여의방죽'으로 고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거기에 있는 길은 윤중로가 아니라 여의방죽길이겠죠. 그런데 왜 방송에서는 여전히 여의방죽이나 여의방죽길, 여의둑길로 안 쓰고 윤중로를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아는 단어 몇 개를 소개합니다.
방죽 : 물이 밀려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쌓은 둑. 
둑 : 높은 길을 내려고 쌓은 언덕.
둔치 : 물가의 언덕.
섬둑 : 섬의 둘레를 둘러쌓은 둑.
우리말123 ^^*
보태기)
1. 저는 우리나라를 사랑합니다. 오늘 편지의 주제는 벚꽃을 사랑하고, 벚꽃을 보고 즐기자는 게 아니라, '윤중'이나 '윤중로'를 쓰지 말자는 겁니다.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윤중제(輪中堤)가 실려있는데, "강섬의 둘레를 둘러서 쌓은 제방."이라 풀어놓고, '둘레 둑', '섬둑'으로 순화했습니다.
3. 벚꽃 축제에서, 축제(祝祭, しゅくさい[슉사이])도 일본어투 말입니다. "기쁜 일이 있을 때에 음식을 차려 놓고 여러 사람이 모여 즐기는 일"은 '잔치'입니다.
4. 어제 인터넷 뉴스에서 보니, 우리나라 대단위 벚꽃 나무들이 일본의 교묘한 문화침탈의 일환으로 심어졌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258&PCode=0007&DataID=200604031553000162

'마감된 자료------- > 성제훈의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봉오리  (0) 2006.04.08
띄어쓰기 4  (0) 2006.04.08
띄어쓰기 3  (0) 2006.04.05
뇌두가 아니라 노두  (0) 2006.04.05
파경(破鏡)  (0) 2006.04.0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