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설의 말밑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by 자청비 2007. 2. 17. 15:17

본문

설의 말밑(어원)은 무엇일까요?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6. 02. 17.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입니다.

 2004년 6월에 시작하여 만 3년을 위해 달려 갑니다.

 그리고 1,000개가 눈 앞에 있습니다.

 더 발전할 수 있도록 따끔한 질책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좋은 자료를 보내 주시면 좋겠습니다. 

 

       “설”이란 말이 어디서 유래했을까요? 먼저 "섧다" 즉, 한 해가 지남으로써 점차
       늙어가는 처지를 서글퍼한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사리다'[愼, 삼가다.]'의 `살'에서
       비롯했다 설(說)이다. '삼가고 조심하는 날' 즉, 몸과 마음을 바짝 죄어 조심하고
       가다듬어 새해를 시작하라는 의미지요. 나이를 말하는 즉 "몇 살(歲)" 하는 '살'에서
       비롯됐다는 연세설(年歲說)도 있습니다. 산스크리트어는 해가 바뀌는 연세(年歲)를
       '살'이라 하고, 이 '살'이 '설'로 바뀌었다고 말합니다.

    

       '설다. 낯설다'의 '설'이라는 어근에서 나왔다는 설도 있는데 처음 가보는 곳, 처음
       만나는 사람은 낯선 곳이며 낯선 사람입니다. 따라서, 설은 새해라는 정신적, 문화적
       낯섦의 의미로 생각되어 낯 '설은 날'로 생각되었고, '설은 날'이 '설날'로 바뀌었다는
       말이지요. 이 밖에 한 해를 새로이 세운다는 뜻의 "서다"라는 말에서 시작되었다고도
       합니다.

 

                       

                                                                                                                                                                      

=========================================================================== 

       (지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가운데서 골라 본 글)

    184. 세밑, 고통받는 이웃을 위한 ‘담치기’ 풍속  
(2004/12/30)

 

       섣달 그믐날 아이들의 세시풍속 중 “담치기”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아이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풍물을 치면(애기풍장) 어른들은 쌀이나 잡곡을 내주었습니다. 이를 자루에
       모아 밤중에 노인들만 계신 집, 환자가 있거나, 쌀이 없어 떡도 못하는 집들을 찾아다니며,
       담 너머로 던져주곤 합니다. 누가 던져 넣었는지 아무도 몰랐고, 알고도 모른 채했습니다.

 

       이웃의 고통을 나눠가지려는, 그러면서 드러내지 않고 숨어서 하는 아이들의 따뜻한
       마음이겠지요. 옛 아이들의 이런 세시풍속을 오늘에 되살리면 얼마나 좋을까요? 구세군
       냄비에 천만 원짜리 수표를 넣으면서 한사코 이름을 밝히기를 거부했다는 말을 들으며
       우리는 흐뭇해집니다.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마감된 자료------- > 플래닛에있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수  (0) 2007.02.19
설은 삼가고 조심하는 날  (0) 2007.02.18
세배법  (0) 2007.02.16
설날 음식  (0) 2007.02.15
구정이 아니라 설  (0) 2007.02.14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