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선시대 풍기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by 자청비 2007. 11. 14. 09:47

본문

조선시대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쟀던 풍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7. 11. 14.
 
 

 

 

       

       세종 때 이후 측우기로 비가 온 양을 재고 강과 개천의 수량을 재는 등 농업기상학이
       발달했는데, 이는 농사가 나라의 근본이었기 때문에 세종임금이 힘을 쓴 까닭입니다.
       농사에는 비와 함께 바람도 종요로운 변수였기에 조선시대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재고자 
       풍기대(風旗臺)를 만들고 그 위에 풍기(風旗)를 세웠습니다. 현재 전해지는 유물로는 보물
       제847호 경복궁풍기대, 보물 제846호 창경궁풍기대가 있습니다. 창경궁풍기대는 아랫단의
       높이가 91센티미터, 위 8각 기둥의 높이가 135센티미터, 전체 높이는 228센티미터입니다.

      
       풍기대에 관해서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대궐 가운데에는 풍기가 있는데 이는
       곧 예부터 바람을 점치려는 뜻으로서, 창덕궁의 통제문 안과 경희궁의 서화문 안에 돌을
       놓고, 거기에 풍기죽(風旗竹)을 꽂아 높았다"라고 기록되어있지요. 또 <동궐도(東闕圖)>에
       화강석 풍기대 그림이 있습니다.

 

                                  

                               

                                                                                                                                                     

============================================================================ 

(지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가운데서 골라 본 글)
                
     243. 하회탈을 쓰고 마음껏 비판과 풍자를...  (2005/02/27
)

    

      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마을에는 하회 별신굿 탈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이 탈들은 11세기의
       작품으로 짐작되는데 섬세하면서도 대담한 선들은 감히 오늘의 솜씨로는 흉내조차 낼 수

       없을 정도로 살아 있는 작품이란 평가를 받습니다. 우리나라 다른 지방의 탈들이 바가지나

       종이로 만들었지만 하회탈들은 오리나무로 만들어졌습니다.

 

       하회탈은 국보 제 121호로 지정되어 현재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하회탈은

       남아있는 각시, 양반, 부네, 중, 초랭이, 선비, 이매, 백정, 할미 등의 9 가지 외에 떡달이,

       별채, 총각의 3가지가 더 있었는데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이 빼앗아 갔다고 합니다. 이 탈은

       해마다 정월대보름에 한 별신굿놀이에 썼던 것으로 평상시에는 입에 담지 못하던 신랄한

       비판과 풍자를 탈을 쓴 채 마음껏 했습니다. 양반들에게 고통받고 살던 민중의 한을 대신

       풀어준 것일지도 모릅니다.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