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우리나라에서 三字의 意味

세상보기---------/사람 사는 세상

by 자청비 2015. 2. 25. 14:29

본문

우리나라에서 三字의 意味

 

우리는 예로부터 3이라는 숫자가 우리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자연스럽게 3이라는 숫자와 친숙하여져 있는데 3이라는 숫자 덕분에 3의 3제곱인 9라는 숫자 까지 덤으로 좋아한다.

 

고구려 문화유물에도 3족오(三足烏)가 등장하고 품계도 삼정승(三政丞)육부(六府)즉3+6=9구 관체를 유지하여 임금님의 수라상도 아홉 개의 못을 밖아 만든 상으로 구침반(九針盤)이라했고 곡식도 조.벼.콩.팥.밀.수수.기장.보리.옥수수를 합하여 구곡(九穀)이라 하고. 바리공주설화에서 바리는 왕의 병 구환을 위해생명수를 얻기 위해 물 긷기 3년 불 때기 3년 나무하기 3년으로 9년 을 일해주고 생명수를 손에 넣어 아버지를 구하고 십진법에서의 9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며 야구에서도 9회 말이 하이라이트로 되어있다.

 

각설하고, 도대체 3(三)이라는 숫자의 의미가 무엇인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아무렴 우리의 일상생활에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조차 의식하지 못하며 하여야 할 이유도 없기에 그저 무심코 지나치지만 그래도 조금만 관심 있게 생각하면 우리의 생활 속에 3이라는 숫자가 상상외로 많이 쓰면서 뜻이 깊은 글자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단군신화에서 보듯 삼위태백 천부인 3(三)개 무리 3천여 개 환인. 환웅. 단군이 3대로 내려오기에 3이라는 숫자가 등장했는지 아니면 국토의 삼면(三面)이 바다이기에 유래됐는지 국토가 3천리(三千里)이기에 예로부터 그랬는지 모르지만 그저 예로부터 우리 생활사에 3(三)이라는 숫자가 무수히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일찍이 맹자도 삼불행이라(三不幸)불행한 것 세 가지를 나열했는데 첫째가 돈을 모으는데 전념하는 것이고 두 번째가 자기 부인만을 사랑하는 것이요 세 번째로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이라 말했으며 익자삼우(益者三友라 나에게 이로운 친구란 정직하고 진실하며 학식이 많은 사람이라 했으며, 삼불혹(三不惑)이라 술과 여자 재물에 빠지지 말며 삼불후(三不朽)요 내가 이룩한 덕(德과공(功)그리고 교훈(敎訓) 이세가지는 썩어 없어지지 않으며 삼불효(三不孝)라 부모를 불의에 빠지게 하고 가난 속에 버려두며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세 가지를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이라 했다.

 

또한 제주도에도 돌.여자.바람이 많고 거지와 대문 그리고 도둑이 없다는 삼다삼무(三多三無)와 우아 하고 보배로운 언어와 식물 수중자원이 있다는 삼보삼려(三寶三麗)와 탐라를 만들었다는삼(三)성혈과 신화의 주인공고(高).양(良).부(夫).즉 고을라. 양을라. 부을라. 3(三)신인(神人)이 있는데 각각 틀린 성씨를 가진 세 사람이 한라산 북녘기슭 모흥혈(毛興穴)에서 솟았다는 전설의 발원지로 삼(三)명수나 삼(三)성혈 모두 신화 속의 존재이지만 여하튼 우리들의 신화에 담겨진 삼(三)이란 숫자의 의미가 담겨져 있다.

 

민족신화에도 삼(三)이라는 숫자가 숫하게 등장하는데 뭐든지 3대로 이어지고 삼신(三神)이 나타나고 삼신(三神)할머니 까지 등장한다 아기를 받을 때 누구나 삼신 할매의 도움을 받으며 성장했다고 믿으며 너를 받아준 삼신(三神)할매라고 인사시켜 주면 처음에는 그 뜻을 모르다가 나중에 어림짐작 알고 있다 삼신 할매가 빨리 나오라고 하면서 엉덩이를 때려 생겼다는 파란 점을 우리민족은 모두가 지니고 태어나는데 이것을 몽고반점이라 한다.

 

아기를 낳으러 안방에 들어갈 때 임산부의 고무신을 거꾸로 벗어놓고 들어가는 이유는 아기를 낳을 수 있는 사람은 죽을 각오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아기를 낳으면 반타작이라 해서 많이도 낳았다 요즘은 의학의 발달과 위생의 청결로 인하여 태어날 때 죽는 일이 희박하지만 옛날에는 낳을 때 많이 죽고 커 나가면서 굶주림 전염병 등으로 죽는 경우가 허다해서 반타작이란다.

 

옥황상제가 삼신(三神)할머니한테 나이가 일곱 살 되던 해 정월 초하루 인시에 인간 세계에 나가서 아기를 낳게 하는 삼신(三神)할멈이 되라고 명을 내린다 명을 받은 삼신(三神)할매가 인간 세계에 내려오던 중 아들을 낳지 못해 죽어 가는 사람을 만나게 되어 거기서 아기를 낳게 해주는데 먼저 은가위로 그 아이의 탯줄을 끊고석(三)자 줄로 동여 맨 다음 더운물로 목욕시키고 산모에게 3일후 쑥물로 목욕하게 하고 태를 사르고 아기에게 배내옷을 입혀 주었다.

 

그래서 민가에서는 삼신(三神)을 모시는 과정도 이와 동일하다 삼(三)줄(탯줄)을 끊고 나와 탄생이 이루어지면 밥과 국을 세(三)그릇 담아 바치고 삼(三)칠 일간 금기를 한다 신체(神體)는 안방 시렁 위에 모시며 삼신(三神)할매가 일곱 살 되던 해 인간세계에 나왔기에 아기도 7일 간격으로 일해 떡을 해놓고 제사하기를 3(三)주로 한다.

 

그래서 3이란 숫자가 대두되었는지는 모르지만 중국에 동방삭이도 왜 하필이면 삼(三)천 갑자(甲子)를 살았는지. 중국이든 우리나라든 왕들은 어찌하여 3천명의 궁녀를 두었다고 기록하는지 우리는 모르지만 여하튼 3(三)대한 숫자에 연관된 것을 보면 사람이 죽으면 3년 상을 치르고 3년 동안 상복을 입었고 마을에서 굿을 할 때 제물을 바치는데 3말 3되 3홉을 바치고 제사를 지낼 때도 세(三)번씩 젓가락을 옮기고 밥을 세(三)숟갈씩 세(三)번 올리고 술잔도 세(三)번 향불 위에서 돌리며 세(三)번씩 따른다.

 

무속에서 등장하는 삼불 제석(三佛帝釋) 고려시대 국가의 번성을 위해 3소(좌소.우소.북소)을 두고 삼신(三神)각(산신.칠성신.독성신)에 제사 지내는 제기(祭器)의 발이 세(三)개로 되어 있으며 삼재(三災)도 큰 삼재(화재.수재.풍재)와 작은 삼재(도병재(刀兵災).역병재(疫病災).기근재(饑饉災)로 나누고 제주도의 3대 무구(巫具)(천문.신칼.산판)와 주자의 삼(三)강 오륜과 삼(三)강 행실도의 삼강(三綱). 단군을 삼 십 삼천 중에 지상천인 제석천에 하강 시켰다 할 때의 3십3천의 3자.

 

과거 시험인 식년시에 33인을 뽑고 독립운동인 파고다 만세삼창도 33인 이라는 숫자는 불교 관음 사상에서 비롯된 말로 전체를 상징하는 것이라 하고 제야에 보신각종을 33번치는 것도 한국민족을 전부 대변 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 삼성(선.악.무기(無記)) 삼보(佛寶.法寶.僧寶) 삼계(欲界.色界.無色界)삼귀(三歸) 물체의 3종류(기체.고체.액체) 피조물의 3집단(과일.식물.동물) 세끼(조.중.석) 또한 색깔에도 삼원색(빨.파.노) 삼정승 삼시 세판(三始三판) 삼천리 금수강산 삼라만상 삼행시 삼척동자 삼십육계 삼월 삼짓날 삼매경 삼일장(三日葬) 삼배(三拜) 삼색실과 삼탕 삼황오제의 삼황(三皇) 삼도(三道) 삼족(三族) 삼D현상 삼삼하다 삼각관계 삼파전 삼등인생 삼총사 삼권분립(三權分立) 삼진아웃 삼생지(육지 .바다 산) 제삼자(第三者) 삼부(三府)요인 희한하게 남북으로 갈라놓은 것도 38선에 3자가 들어간다.

 

다른 나라에로 망명하면 이국(異國)으로 망명 갔다고 해야 맞는데 제3국으로 망명 갔다고 하며 엄마 찾아 삼만리(三萬里)가 왜 하필이면 2만리도 아닌 삼만리어야 하고 왜 부자는 삼대(三代)를 못가며 삼대(三代)를 빌어먹고 꼭 삼족(三族)을 멸해야 되는지 이족(二族)은 아니 되고 사족(四族)은 아니 되는가 또 공자의 삼인행 필유아사언(三人行 必有我師焉)과 거짓말도 삼박자(三拍子)가 맞아야 하고 옛말에 여자는 일생에 있어서 세 가지 따라야 할 도리로 어려서는 부모를 따라야 하고 시집을 가면 남편을 따르며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르라는 삼종지의(三從之義)라는 말이 있다.

 

민속놀이인 민간 화투에도 삼단(홍단.청단,구사단)과 고도리에서도 3점을 내야하고 고도리도 3쪽(흑싸리.팔공산.메주) 삼광 또 비광을 합하여 광이 세개가 되며 한자 문화에서 三을세우면 川(泉)이 되어 셋과 샘은 어원도 같고 무궁무진하다는 뜻이 되기에 이렇게 3이라는 숫자가 무궁무진하게 많이도 쓰이는지는 모르나 경국지색 요건도 (3白 3黑 3紅 3長 3廣 3細 3富 3微細) 3이라는 숫자가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듯이 아무튼 삼이라는 숫자가 우리생활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뜻이 심오하다는 것만은 틀림없다.

 

※ 삼자가 들어가는 말 

 

삼강

君臣 父子 夫婦의道를 말한다

삼대

⓵.중국상고시대 라 은 주의3조

⓶.자기중심으로 한 조 자 손

삼덕

知 仁 勇

삼경

삼복

삼우

松 竹 梅

삼상향

삼분향

삼교

儒 佛 仙

삼공

영의정 좌 우의정

삼경

역경 시경 서경

삼족

부족 모족 처족

삼강

君臣 父子 夫婦 관계

삼권

입법 사법 행정

삼광

해 달 별의 빛

삼친

부자 형제 부부

삼극

하늘 땅 사람

삼남

충청 전라 경상도 총친

삼순

한달순을 열을 상순 중순 하순

삼은

목은(이색)포은(정몽주)이은(길재)

삼건

어른 모실 때 세가지 허물

조(시끄럽게 떠듬)은(숨기는 것)신(믿은이 없슴)

 

 

<출처 : http://blog.cyworld.com/imoonjigi/894089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