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병제도와 징용은 일본의 식민지 지배과정의 역사속에서 최악의 범죄적 정책의 하나였다.” 재일조선인운동사연구회 히구치 유이치(桶口雄一) 대표가 일제의 징병제도에 대해 내린 평가다.
며칠전 서울에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위원회 출범 1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이 있었다. 이 심포지엄에서는 한·중·일 학자들이 나와 일제하 강제연행 및 징병, 종군위안부, 남경대학살 등에 대한 성격과 평가, 진상규명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고 토론했다. 해방 60년이 지나고 나서야 비로소 일제하 과거사에 대한 규명작업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일본 후생성 발표에 따르면 전시 한국인 희생자는 2만2천여명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징병으로 끌려온 군인 또는 군속의 숫자일 뿐이다.
일제강점하 피해가 어찌 징병 뿐인가. 위안부는 물론 강제동원 등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는 아직도 정확한 실태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과거사 청산은 단순히 과거 사실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는데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과거사 청산이 올바로 됐을 때 비로소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고 화해와 상생하는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진상규명위의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지난 10월부터 시작된 한라일보의 일제 전적지 탐사취재도 그 연장선상에 있다. 해방 60년이 지났지만 도내 분포된 일제 전적지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나 보도는 미흡했다. 한국현대사의 최대비극인 ‘4·3’의 그늘이 워낙 컸던 탓일게다.
필자는 일제의 진지갱도를 탐사하는 동안 ‘이 거대한 요새를 만들었던 주인공들이 모두 어디로 사라졌나’ 하는 착각에 빠진 적이 있다. 일본군이 파놓은 거대한 진지갱도에 대한 놀라움에 안데스산맥 정상에서 발견된 마추피추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진지갱도들이 많이 허물어지고 있어 아직 가야할 길은 먼데 시간이 많지 않은 것 같아 안타깝다.
<2005. 11.15>
황우석 논란의 또다른 단면 (0) | 2005.12.07 |
---|---|
마라톤이 좋다 (0) | 2005.11.29 |
제주특별자치도IV (0) | 2005.11.11 |
조손(祖孫)가정과 결연 (0) | 2005.11.02 |
청백리와 부패지수 40위 (0) | 200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