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이승엽 선수가 홈런을 참 잘 치네요. 뭐라고 꼭 집어서 말할 수는 없지만, 일본에서 이렇게 홈런을 잘 치니, 기분이 참 좋습니다.
^^*
이러는 이승엽 선수를 보고, '이승엽, 작열하는 홈런'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있더군요. 오늘은 이 '작열'과 '작렬'을
갈라볼게요.
다음 뉴스 검색창에 '홈런 작열'이라고 넣고 검색하면, 모두 17개의 기사가 나옵니다.
다시, '홈런 작렬'이라고 넣고
검색하면, 모두 1,463개의 기사가 나옵니다. 참으로 다행입니다.
작렬(炸裂)과 작열(灼熱)은 [장녈]로 발음이 같습니다. 그러나 뜻은
전혀 다르죠.
작렬(炸裂)은, 터질 작(炸) 자와 찢을 렬(裂) 자를 씁니다. '작'은 화약이 터진다는 뜻이고, '렬'은 옷감이 찢어진다는
뜻으로, 화약이 터지면서 그것을 싸고 있는 것이 찢어져서 쫙 퍼진다는 뜻이 됩니다. 그래서 '작렬'의 사전적 의미가 "포탄 따위가 터져서 쫙
퍼짐"과 "박수 소리나 운동 경기에서의 공격 따위가 포탄이 터지듯 극렬하게 터져 나오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이승엽 선수가
날마다 홈런을 치는 것을 두고, 작렬하는 홈런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작열(灼熱)은, 불에 태울 작(灼) 자와 더울 열(熱) 자를
씁니다. 불에 태워서 뜨거워진다는 뜻이죠. 따라서 '작열'의 사전적 의미는, "불 따위가 이글이글 뜨겁게 타오름"과 "몹시 흥분하거나 하여
이글거리듯 들끓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작열하는 태양'처럼 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뭔가가 많이 터져 나오고, 흩어지는 것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두 단어를 가르실 수 있겠죠?
두 단어를 한꺼번에 써 보면, '작열하는 태양 아래서 이승엽 선수 홈런
작렬'처럼 쓸 수 있겠죠.
우리말123 ^^*
--------------------------------------------------
우리말편지 독자가 보내온
내용입니다.
작열, 작렬...
참으로 곰팡내 나는 말입니다.
아직도 이런 낱말을 쓰다니...
'작열하다'는 흔히 "작열하는
태양". "태양이 작열하는"으로 쓰는데, 우리나라 사람 가운데
그 뜻을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글말로는 쓰지만, 입말로는 전혀
쓰지 않지요.
예부터 먹물 먹은 사람이 유식함을 자랑하려 써 버릇하던 말이 아니던가요?
'뜨거운 태양', '이글거리는 태양',
우리는 이렇게 말하지요.
이 얼마나 귀에 쏙 들어오는 쉬운 말입니까.
이는 '작렬'도 마찬가지죠.
우리 신문들이 이런
표현을 쓰고 있다는 게 참으로 한심합니다.
사람들이 알기 쉬운 말로 사실을 정확하고 진실되게 알려주어야 할 신문이
자신의 지식과
권력을 뽐내고 휘두르는 데에만 마음을 쓰고 있지요.
우리 신문들은 대학교를 무사히(?) 마친 저 같은 사람도 제대로 읽어 내기 힘들지요.
하긴, 신문만 그런 게 아니지요. 공문서, 약관, 제품설명서, 모든 것이 그러하지요.
다른 사람은 미처 생각하지 못하고 저 잘사는
궁리에 빠지다 보니 그렇게 되었겠지요.
배운 사람은 그러지 말아야 하는데, 외려 자신의 알량한 지식과 문화를 저들끼리만 누리려 하지요.
진짜로 많이, 깊이 아는 사람은 그러지 않는데, 아니, 그럴 수 없는데...
그게 얼마나 터무니없이 잘못된 일인지 잘 아니까요.
말이 길어졌습니다.
너무나 답답해서....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 (0) | 2006.08.14 |
---|---|
꼬이다/꾀다 (0) | 2006.08.11 |
물쿠다 (0) | 2006.08.07 |
우리말 '바사기' (0) | 2006.08.05 |
물고추 (0) | 2006.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