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 재발견
2008.10.30 by 자청비
지구온난화로 치명적 전염병 10여종 확산 위험
2008.10.08 by 자청비
한국 37년간 기온1.441℃ 증가
2008.09.24 by 자청비
지구 환경위기 시계 ‘9시 33분’ 가리켜
2008.09.17 by 자청비
한반도 남서해·동중국해 ‘죽음의 바다’
2008.08.18 by 자청비
이산화탄소 줄이는 일상의 실천
2008.05.27 by 자청비
올여름 북극서 얼음 사라질 수도
2008.04.28 by 자청비
지구를 살리는 10가지 방법
2008.04.13 by 자청비
<람사르 총회> "논은 '놀랄 만한' 습지..주목대상" <연합뉴스> 제10차 람사르 총회에서 '논 습지 결의안'이 상정되는 등 논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 동안 쌀 등 식량의 생산지로서만 간주되던 논을 생물 다양성의 보고(寶庫)로 세계인들이 재평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 논, 생명이 숨쉬는 곳 ..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10. 30. 15:03
지구온난화로 치명적 전염병 10여종 확산 위험 <뉴시스> 조류인플루엔자(AI)에서부터 황열병에 이르기까지 십여종에 달하는 치명적인 전염병들이 지구온난화로 인해 더욱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야생동물보존협회(WCS)가 7일(현지시간) 밝혔다. 미국 브롱스 동물원에 본부를 두고 세계 60여개 국에..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10. 8. 13:46
"한국 37년간 기온 1.44℃↑..전염병 증가" [연합뉴스] 지난 37년 동안 국내 7대 도시의 평균기온이 1.44℃가 상승하는 등 기후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염병 발생 증가 등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된 기후변화적응 건강관리대책 심포지엄에서 발제자로 나..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9. 24. 19:18
지구 환경위기 시계 ‘9시 33분’ 가리켜 日 아사히 재단 발표…작년보다 2분 빨라져 <경향신문> 지구가 처한 환경 위기를 알리는 세계 환경위기시계가 9시33분을 가리켰다. 이로써 조사를 시작한 1992년 이후 ‘인류 생존이 불가능한 마지막 시간’인 12시에 가장 가까워졌다. 환경재단과 일본 아사..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9. 17. 10:06
한반도 남서해·동중국해 ‘죽음의 바다’ [서울신문 2008-08-18] 수중 산소가 고갈돼 생물이 살 수 없는 일명 ‘죽음의 바다(dead zone·데드 존)’가 동중국해와 한반도 남서해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405군데나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면적만 24만 5000㎢에 이른다. 뉴질랜드 전체 면적과 맞먹는 크기다. 특히..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8. 18. 20:50
이산화탄소 줄이는 일상속 실천 ‘즐거운 불편’ 7가지 [경향신문] 우리나라 4인 가족의 월평균 전기 사용량은 214kwh. 10%만 줄여도 1년 동안 112㎏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 일상 속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즐거운 불편’ 7가지를 제안한다. 온라인 청구서 신청하기 온라인 청구서를 ..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5. 27. 22:09
올여름 북극서 얼음 사라질 수도 [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인해 올 여름 북극에서 얼음이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미국 ABC 뉴스 인터넷판이 27일 보도했다. 미 국립빙설자료센터(NSIDC)의 마크 세레즈는 올해 북극의 얼음 두께가 한층 얇아지고 약해질 요인이 몇 가지 있다고 경고했다. 북극해의 빙하..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4. 28. 16:20
지구를 살리는 10가지 방법 [머니투데이] 뉴스위크, '전구-쓰레기재활용-골프장 등 10대 변화 필요' '온실 가스 효과'로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지구가 기상이변이라는 격변을 겪고 있다. 지구의 기온이 점점 따뜻해지면서 북극과 남극 등 극지방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다. 그리고 생태계의 변화와 더..
또다른공간-------/지구를지키자 2008. 4. 13. 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