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왕세자교육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by 자청비 2009. 1. 28. 09:16

본문

벗과 함께 놀면서 공부하게 한 왕세자 교육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1. 29.
 
 

 

 

          요즘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가 친구를 짓밟고서라도 좋은 성적을 받기를 바랍니다.
          오로지 자신의 자녀가 일류 대학에 들어가서 출세하는 데 온 힘을 다해야 할 뿐
          친구와 노는 것은 안 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조선시대 왕세자 교육은
          이와 달랐습니다. 임금이 되려면 학문을 닦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라 벗과 친하게
          지내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았던 것입니다. 또 한창 뛰어놀아야 할 나이에
          꼬빡 앉아 공부에만 매달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도 알았었지요.

 

          그래서 조선시대 왕세자 교육에선 “배동(陪童)”을 꼭 두도록 했습니다. 배동은
          원자와 동년배 아이들을 뽑아 어울려 놀면서 함께 공부하도록 배려한 것입니다.
          원자의 교육에 배동을 두도록 한 것은 1402년(태종 2) 원자의 교육을 위해 성균관
          동북쪽에 학궁(學宮)을 세우고 공신들의 자제를 불러 함께 공부하도록 한 것이
          최초입니다.

                           

            

                                                    

============================================================================= 

      (지난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가운데서 골라 본 글)

    
       
680. 장인이 장이로 바뀐 결과  2006/05/13

          

          백제에서는 기와 장인을 ‘와박사(瓦博士)라고 불렀고, 6세기 후반 이들을 왜국에
          파견하여 기와제작법을 전수하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백제 때는 와박사를 비롯한
          장인들이 높은 대우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신라의 탈해왕은 자신을 본래
          단야(鍛冶), 즉 대장장이 출신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 신라와 가야의 대형
          고분들에서는 집게, 망치, 숫돌, 받침모루 따위의 대장간 도구들이 출토된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를 미루어 볼 때 대장장이 집단이 상당한 대우를 받았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대우받던 장인들은 조선시대엔 장이로 전락합니다. 가죽공예의 장인을
          ‘갖바치’라 하고, 대장아이, 옹기장이 따위로 불리며, 상민이나 천민 등 하층
          계급으로 천시를 받습니다. 장인들의 이런 신분추락은 결국 뛰어난 겨레문화가 더는
          이상 발전되지 못하고 맥이 끊기는 안타까움이 되었습니다.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

'마감된 자료------- > 플래닛에있던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리보기  (0) 2009.02.02
백화주  (0) 2009.01.29
설날의 세시풍속 '양괭이쫓기'  (0) 2009.01.27
설날의 말밑은 무엇일까요  (0) 2009.01.23
과거 낙방생 위로 잔치였던 백일장  (0) 2009.01.2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