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노자, 당신들의 대한민국
2006.02.05 by 자청비
권력에의 의지
2006.01.24 by 자청비
X세대의 부모상
2006.01.18 by 자청비
기러기 아빠 2題
2006.01.17 by 자청비
사학법 논란 유감
2006.01.12 by 자청비
사학법 논란 어떻게 볼 것인가
2006.01.06 by 자청비
세계석학들이 말하는 '위험한 생각'
2006.01.05 by 자청비
난징대학살 폭로 일본인 아즈마 시로 사망
박노자 교수는 '당신들의 대한민국 02'를 통해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가하고 있다. ‘차별과 폭력을 넘어, 평화와 공존의 시대를 향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의 서문 앞에는 다산 정약용의 ‘여름 술을 대하다’라는 글이 실려 있다. “한밤중에 책상을 차고 일어나/ 탄식하며 높은 하..
세상보기---------/사람 사는 세상 2006. 2. 5. 21:21
“선(善)이란 무엇인가? 선이란 인간에게 있어서 권력의 감정을, 권력에로의 의지를, 권력 그 자체를 드높여 주는 모든 것이다.”(니체-‘권력에의 의지’ 중에서) 거물 법조 브로커 윤상림 사건을 보면서 “과연 인간사회에서 선은 자기보다 높은 권력(힘)을 향해 끊임없이 추구하는 것일까”라는 ..
세상보기---------/마음대로 쓰기 2006. 1. 24. 15:24
1991년 미국의 작가 더글러스 쿠플랜드(Douglas Coupland)는 뉴욕에서 ‘X세대’(Generation X)라는 장편소설을 발표해 선풍적인 화제를 모았다. 그리고 X세대라는 용어는 1960년대에서 1970년대의 서구산업사회에서 태어난 세대를 가리키는 말이 됐다. 우리나라에서 X세대라는 용어는 1994년 모 회사 화장품 광고..
세상보기---------/마음대로 쓰기 2006. 1. 18. 21:42
LA타임즈, 한국의 기러기 아빠 실태 보도하다 <앵커 멘트> 미국의 LA 타임스가 우리나라의 기러기 가족과 조기유학 열풍에 대한 기사를 크게 보도했습니다. 높은 교육열로 가족들이 헤어져 사는 아픔을 기꺼이 감수하고 있지만 정체성과 가정의 가치가 흔들리는 부작용도 크다는 것입니다. <리포..
세상보기---------/조리혹은부조리 2006. 1. 17. 22:29
우리나라 최초의 사학(私學)이라 하면 고구려 때 경당을 들 수 있다. 경당은 당시 평민층 자제들을 위하여 설립한 사립 교육기관이다. 중국 사료인 신당서(新唐書)에는 고구려의 경당에 대해 “사람들이 공부하기를 좋아하여 시골 벽촌의 가난한 집에 이르기까지 서로 열심히 했다. 큰 길가에는 커다..
세상보기---------/마음대로 쓰기 2006. 1. 12. 05:32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 사회의 최대 쟁점은 황우석 교수 논란과 사학법 논란이었다. 그러나 황우석 교수 논란이 워낙 컸던 탓에 사학법 논쟁은 조금 가려버렸다. 그리고 사실 교육분야 종사자나 관련자 외의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사학법 논쟁은 그다지 관심거리가 아니었다. 그런데 개정..
세상보기---------/조리혹은부조리 2006. 1. 6. 23:27
‘지구는 스스로 온난화를 극복할 수 있다.’ ‘학교는 금지돼야 한다.’ ‘박테리아를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인터넷 잡지 ‘더 엣지(The Edge)’가 물리학자, 진화생물학자, 철학자, 컴퓨터과학자, 심리학자, 과학전문기자 등 전문가들을 상대로 ‘무엇이 위험한 생각인..
세상보기---------/사람 사는 세상 2006. 1. 5. 09:43
자신의 일기를 통해 지난 1937년 12월 발생한 일제 군대의 난징(南京)대학살 사건을 폭로, 진실 여부를 놓고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일본인 아즈마 시로(東史郞)가 3일 교토(京都)의 한 병원에서 9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고 중국 언론이 4일 보도했다. 1937년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을 점령한 일본..
세상보기---------/사람 사는 세상 2006. 1. 5. 0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