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옴표 쓰기
2006.02.12 by 자청비
[히히덕거리다]
[벌리다/벌이다]
염치불구/염치불고
2006.02.10 by 자청비
우리말 방송원고 14
바람만바람만
터울//짜깁기
잊어버리다/잃어버리다
제가 보내는 우리말 편지에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가 많이 나오는데요. 어떻게 구별해서 쓰냐고 묻는 분이 계십니다. 오늘은 그 이야깁니다. 글을 쓰다 보면 강조를 해야 할 경우가 있죠? 예를 들면,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에서처럼 지식과 실천을 강조하고자 할 때, 흔..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2. 21:57
흔히 '히히덕거리며 찧고 까불다'라고 말하죠.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사전과 민중서림에서 나온 사전에는, '히히덕거리다'는 '시시덕거리다'의 잘못으로 나와 있습니다. '히히덕거리다'는 단어는 틀린거죠. 연세국어사전에는, "실없이 자꾸 웃으며 지껄이다."고 나와 있습니다. 연세국어사전에서 '시시..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2. 21:56
'벌리다'와 '벌이다'는 다른 단어입니다. '벌리다.'는, "둘 사이를 넓히거나 멀게 하다"는 뜻으로, 줄 간격을 벌리다/가랑이를 벌리다/입을 벌리고 하품을 하다처럼 씁니다. "껍질 따위를 열어젖혀서 속의 것을 드러내다.", "우므러진 것을 펴지거나 열리게 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어쨌든 물리적인 거리..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2. 21:55
[염치불고/염치불구] '염치 불고'는 불고염치(不顧廉恥)라는 사자성어에서 온 말로, "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함"이라는 뜻입니다. 곧, "(어쩔 수 없는 사정으로) 부끄러움을 아는 마음을 생각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염치 불구'와 '염치 불고'를 좀 구별해 볼게요. '불고(不顧)'는 앞에서 본 대로..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0. 23:17
CBS에서 정범구 박사가 진행하는 '뉴스 매거진'이라는 프로에, 매주 목요일 오전 9:40분부터 50분까지 전화로 인터뷰하는 내용입니다. ………… 정 오늘은 자주 틀리는 맞춤법 몇 가지 소개해주신다고요.. 성 올해가 시작한 지 벌써 열흘이 넘었는데요. 정신 번쩍 들게 흔히 틀리는 맞춤법 몇 가지 소개 ..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0. 23:11
‘아이’는 “아직 태어나지 않았거나 막 태어난 아기”로 “나이가 어린 사람”을 말합니다. ‘아기’는 “어린 젖먹이 아이”를 말합니다. 흔히들 젖먹이 아이를 ‘애기’라고 많이 하시는데요. 우리나라 국어사전에 ‘애기’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어린 사람은 ‘아이’입니다. 그리고 그 ‘아이..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0. 23:09
며친 전에 오랜만에 고향 후배를 만났습니다. 자기가 존경하는 분이라면서 같은 회사에 다니는 선배 한 분을 모시고 왔더군요. 저를 그 사람에게 소개하면서, "이 분은 이러저러한 사람이고, 몇 학번이고, 저와는 세 살 터울입니다."라고 하더군요. 아니, 이런..., 이런 망발이 있나... 세 살 터울이라니....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0. 23:05
오늘은, '잊어버리다'와 '잃어버리다'의 차이를 말씀드릴게요. 글로 쓸 때는 별로 헷갈리지 않는데, 발음할 때는 많은 분이 헷갈리시더군요. '잊다'는 "한번 알았던 것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억해 내지 못하다."는 뜻으로, 수학 공식을 잊다/영어 단어의 철자를 잊다/영화 제목을 잊었다처럼 씁니다. '..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2. 10. 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