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과 시간
2006.01.07 by 자청비
‘고난의 역사현장’일제전적지를 가다 6
‘고난의 역사현장’일제전적지를 가다 5
사학법 논란 어떻게 볼 것인가
2006.01.06 by 자청비
마라톤의 추억
세계석학들이 말하는 '위험한 생각'
2006.01.05 by 자청비
난징대학살 폭로 일본인 아즈마 시로 사망
일가견이냐 한가락이냐?
2006.01.04 by 자청비
[시간과 시각] ‘시각’은 시간의 어느 한 점을 의미하고, ‘시간’은 어떤 시각에서 다른 시각까지의 사이를 의미합니다. 시각은 한 점이고, 시간은 점들의 집합인 선이라고 할 수 있죠. 그걸 모르고 ‘시각’과 ‘시간’을 혼동해서 쓰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광판에 있는 ‘현재 시각’은 맞습..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1. 7. 10:18
3. 어승생악의 일제 흔적들 ①베일 벗는 지하진지 한라산 고지대 최후의 저항 진지 한라일보 : 2005. 11.09 ▲한라산 어승생악 대형 갱도진지 내부. 총연장 86m에 이르는 이 갱도진지는 내부구조 등 그 실체가 알려지지 않다가 이번 탐사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이승철기자 sclee@hallailbo.co.kr 총연장 310..
마감된 자료-------/숨겨졌던日戰跡地 2006. 1. 7. 10:08
2. 알뜨르·송악산 벨트 ④무장해제와 알뜨르 일본군 무기·무장해제 과정 ‘생생’ 한라일보 : 2005. 11.02 ▲섯알오름 정상부 고사포 진지에 설치됐던 해군방어포의 폭파된 뒤의 모습(사진 왼쪽). 일본군 탱크의 추가사용을 예방하기 위해 폭약을 장착한 뒤 폭파시키고 있는 장면(사진 가운데). 미군 폭..
마감된 자료-------/숨겨졌던日戰跡地 2006. 1. 7. 09:59
작년 하반기부터 우리 사회의 최대 쟁점은 황우석 교수 논란과 사학법 논란이었다. 그러나 황우석 교수 논란이 워낙 컸던 탓에 사학법 논쟁은 조금 가려버렸다. 그리고 사실 교육분야 종사자나 관련자 외의 일반인들의 입장에서 사학법 논쟁은 그다지 관심거리가 아니었다. 그런데 개정..
세상보기---------/조리혹은부조리 2006. 1. 6. 23:27
고원정의 스포츠광장 <경향신문> 중학교 시절, 우리 모교에서는 해마다 개교기념일이면 10㎞ 단축마라톤 대회를 열곤 했다. 개별 입상자에게 시상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학급별로도 점수를 매겨 종합우승을 가리는 대회였기에 전교생이 의무적으로 참가해야만 했다. 고산동산이라는 숨 가쁜 고갯..
건강생활---------/맘대로달리기 2006. 1. 6. 22:34
‘지구는 스스로 온난화를 극복할 수 있다.’ ‘학교는 금지돼야 한다.’ ‘박테리아를 사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인터넷 잡지 ‘더 엣지(The Edge)’가 물리학자, 진화생물학자, 철학자, 컴퓨터과학자, 심리학자, 과학전문기자 등 전문가들을 상대로 ‘무엇이 위험한 생각인..
세상보기---------/사람 사는 세상 2006. 1. 5. 09:43
자신의 일기를 통해 지난 1937년 12월 발생한 일제 군대의 난징(南京)대학살 사건을 폭로, 진실 여부를 놓고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일본인 아즈마 시로(東史郞)가 3일 교토(京都)의 한 병원에서 9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고 중국 언론이 4일 보도했다. 1937년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을 점령한 일본..
세상보기---------/사람 사는 세상 2006. 1. 5. 09:40
몇 년 전에는 새해 '일출' 보러 간다고 하더니, 요즘은 '해맞이' 보러 간다고 하더군요. 저는 이런 걸 보면 저절로 흥이 납니다. ^^* 일몰/일출보다 해넘이/해맞이가 백 배, 천 배, 아니 만 배나 더 좋지 않아요? [독불장군]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독불장군을 찾아보면 세 가지 뜻이 나..
마감된 자료-------/성제훈의우리말 2006. 1. 4. 0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