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 정승의 진정한 자식 교육
2009.03.06 by 자청비
남자들 삶의 공간 사랑채 이야기
2009.03.05 by 자청비
명지바람, 실바람
2009.03.04 by 자청비
왕비는 아미산 굴뚝을 보며 어떤 생각에 젖었을까?
2009.03.03 by 자청비
개다리소반, 통영반
2009.02.27 by 자청비
장신구 비녀
2009.02.26 by 자청비
88올림픽 식전행사를 장식한 고싸움놀이
2009.02.25 by 자청비
일식은 해가림, 월식은 달가림
2009.02.24 by 자청비
황희 정승의 진정한 자식 교육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3. 06. 조선 세종임금 때 무려 18년간 영의정을 지냈던 명재상 황희 정승이 있었지요. 조선 광해군 때의 문인 유몽인(1559∼1623)이 엮은 <어우야담>에는 그 황희 정승과 기생을 사랑한 그의 아들 황수신 이야기가 나옵니다. 황희는 아들에게 기..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3. 6. 08:38
남자들 삶의 공간 사랑채 이야기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3. 05. 사랑방은 사랑채의 주요 공간으로 남자주인과 귀한 손님이 지내는 공간이었습니다. 양반가의 사랑방은 잠을 자는 외에도 책 읽고 그림 그리며, 거문고를 뜯는 것은 물론 손님을 맞는 등의 많은 일이 이루어졌던 중요한 방이지요. 선비..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3. 5. 08:54
꽃피는 봄에는 명지바람·실바람이 붑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3. 04. 내일(토박이말 올제)은 겨울잠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는 경칩입니다. 드디어 봄이 온 것이지요. 하지만, 아직 이른 봄이어서 “꽃샘바람”, 살 속을 기어드는 맵고 찬 “소소리바람”이나 “살바람”이 붑니다. 그래도 머지않..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3. 4. 08:50
왕비는 아미산 굴뚝을 보며 어떤 생각에 젖었을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3. 03. 태종 때 경복궁 경회루가 있는 연못에서 파낸 흙으로 교태전 뒤뜰에 인공동산을 세웠는데 이를 아미산이라 합니다. 그 아미산 기슭에 세워진 보물 제811호 굴뚝이 있습니다. 교태전의 아궁이에 불을 지피면 연기가 뒷..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3. 3. 08:40
개다리소반, 통영반이란 이름의 소반을 아시나요?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2. 27. 우리 겨레가 밥을 먹을 때 쓰던 자그마한 상은 소반(小盤)입니다. 그 소반을 만드는 전통적 기법을 전수받은 장인은 "소반장(小盤匠)"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소반은 지방마다 고유의 특징을 가..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2. 27. 09:16
기혼여성들에게 꼭 필요했던 장신구 비녀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2. 26. 어제는 음력 2월 초하루인데 노비들에게 나이대로 송편을 먹이는 노비날, 제주도에서는 '영등할매가 오시는 날"입니다. 그래서 옛 얼레빗은 영등할매 이야기를 보냅니다. 예부터 비녀(잠:簪)는 우리 기혼 여성들에게 없어서는 ..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2. 26. 08:57
88올림픽 식전행사를 장식한 고싸움놀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2. 25. 지난 1988년 88서울올림픽 식전행사에 두 개의 고가 상대를 향하여 앞으로 질주하다 머리를 부딪쳐 하늘로 치솟는 장면이 있었습니다. 이를 보고 많은 사람은 땅을 박차 오르며 하늘로 오르는 용을 닮아 강렬한 힘을 느꼈다고들 ..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2. 25. 09:19
일식은 해가림, 월식은 달가림입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2. 24. 달이 해를 가려 생기는 것을 “일식(日蝕)”이라고 합니다. 대신 지구가 달을 가리면 “월식(月蝕)”이라고 하죠. 일식과 월식 모두 “좀먹을 식(蝕)”이란 한자를 씁니다. 이 “蝕”은 좀먹거나 썩어들어간 상처를 뜻하기 때문에 ..
마감된 자료-------/플래닛에있던글 2009. 2. 24. 08:50